한국어와 영어의 어간 말 자음탈락 분석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ㆍ발행기관 :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ㆍ수록지정보 : 인문학연구 / 111권
ㆍ저자명 : 박미숙 ( Park Mi-sook )
ㆍ저자명 : 박미숙 ( Park Mi-sook )
한국어 초록
본 논문에서는 한국어와 영어의 어간 말 자음탈락 현상을 언어보편적 제약과 언어특정적 제약을 바탕으로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어간말 자음연속체 C<sub>1</sub>C<sub>2</sub>는 영어와 한국어에서 모두 언어보편적인 공명도 순차배열 원리에 따라 공명성이 더 낮은 C<sub>2</sub>의 탈락 현상을 보이지만 공명성이 상대적으로 더 높은 C<sub>1</sub>이 탈락하는 현상도 보임에 따라 언어특정적인 제약 설정이 요구될 수밖에 없으며 제약들 간의 서열 또한 다르게 배열될 수 있다.영어와 한국어에서 모두 *AGREE(place)와 SonPrer가 상위제약으로, FAITH가 하위제약으로 설정된다는 것은 공통적이지만 더 복잡한 한국어의 자음탈락 양상을 설명하기 위해서는 언어특정적인 제약 MAX[-Cor]의 설정이 불가피하며 SonPre의 서열 또한 경우에 따라서 상위 또는 하위에 배열 시킬 수밖에 없다. 즉, 이 두 제약은 MAX[-Cor]≫SonPre이거나 SonPre≫MAX[-Cor]으로 나타날 수 있으며 이것은 한 언어 내에서의 일관성이 결여된 자음축약 현상을 보여주는 것으로서 한국어 화자가 한국어에 대해 가지는 언어특정적 음성인식에 따른다는 것을 반영한다.이러한 사실로 볼 때 영어와 한국어의 어간 말 자음탈락 현상을 규명하기 위한 음운 규칙은 예외를 허락할 수밖에 없을 것이며 이것은 모국어 화자의 내재적 음성실행 능력과 심리적 발음 인식에 의하여 언어 간의 상이한 자음축소 현상을 보인다는 결과를 얻을 수 있다.영어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tem-final coda cluster simplification in Korean and English, depending on Optimality-theoretic approach. Although the phonemic arrangement in the stem-final C<sub>1</sub>C<sub>2</sub> sequence can be phonetically realized obeying the Sonority Sequencing Principle language-universally, the stem-final double codas in Korean and English shows phonetic simplifications of the consonant sequences language-specifically. This phonetic realization can be analyzed by the agreement and faithfulness-related constraints, AGREE(place), MAX[-Cor], FAITH and the sonority-related constraint SonPre. but they could be ranked differently between the two languages. Particularly, Korean consonant-cluster simplification which depends on language-specific knowledge represents the two different ranks. This reflects the fact that it is difficult to be examined out of the processes of phonetic perceptions which native speakers go through language-specifically.참고 자료
없음태그
"인문학연구"의 다른 논문
인민의 민주주의? 라클라우의 ‘인민주의’와 발리바르의 ‘자유-평등 명제’의 비교연구36페이지
일본신화에 나타난 선과 악의 양상 고찰 -『일본서기』의 용례를 중심으로-28페이지
대학 글쓰기 교과 운영 개선을 위한 비판적 고찰 - 충남대학교 글쓰기 강좌 현황과 글쓰기 센터 운영..30페이지
자유글쓰기(Free-Writing)를 활용한 글쓰기 동기부여 전략26페이지
인지혁명과 언어학에서의 ‘기억’ - ‘경험기억의 범주화’에 따른 서사 패러디 광고문의 ‘독립된 인지..20페이지
일제강점기 충남지역의 강제연행 현황36페이지
『뎡산일긔』의 거시구조 분석과 결속성 연구30페이지
인공지능 및 사이버휴먼 시대의 윤리적 논쟁과 규범윤리의 요청23페이지
신라 왕릉(王陵)의 풍수사상적(風水思想的)특징과 정치적 영향33페이지
베르그송과 포스트휴머니즘과의 만남 -신체에 대한 이해를 중심으로-20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