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 국정교과서의 쟁점들에
- 최초 등록일
- 2018.05.15
- 최종 저작일
- 2016.08
- 10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3,000원

판매자비오는날의별 (본인인증회원)
6회 판매

목차
1. 한국사 교과서 국정화란?
2. 한국사 국정 교과서 제작 과정
3. 한국사 국정 교과서의 주요 쟁점들
4. 결론 및 제언
본문내용
서론// 대한민국의 중·고등학생이 당장 내년부터 사용하게 되는 한국사 국정 교과서가 계속해서 논란이 되고 있는데, 고등학생으로서 우리들이 또는 우리들의 후배들이 사용하게 될 교과서가 왜 논란이 되고 있는지에 대해서는 알아야 된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한국사 국정교과서를 연구대상으로 선택했다.
한국사 국정 교과서가 왜 논란이 되는 지에 대해 알아보기 전에 먼저 한국사 교과서 국정화가 무엇인지부터 알아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래서 먼저 한국사 교과서 국정화가 무엇인지부터 알아보고 국정교과서가 어떤 과정을 거쳐서 만들어 졌는지에 대해서 살펴본 후에 국정교과서가 왜 논란이 되고 있는지, 한국사 교과서 국정화 찬반을 각각 어떠한 입장을 취하고 있는지를 살펴볼 것이다. 한국사 국정 교과서를 조사할 때 객관성과 신뢰성을 가장 중요시 할 것이다. 그리고 주장은 보기 쉽게 구분해서 서술해 나가는 방향으로 연구 및 논문 작성을 해 나갈 것이다. ‘그것이 알고 싶다’ 조원들은 밑에 제시된 일을 해나갈 것이다.
1) 한국사 교과서 국정화란?
‘한국사 교과서 국정화’라는 것은 국가에서 직접적으로 교과서를 집필하는데 관여하고 그 내용을 결정하여 만든 한국사 교과서만을 학교 수업에 사용하도록 하게 하는 것이다. 이전까지만 하더라도 앞서 말한 국정 교과서나 민간에서 개발한 도서 중 국가의 검정심사에서 합격한 검·인정 교과서, 출판사나 저자가 정부기관의 검·인정 절차 없이 출판한 자유발행 교과서 중 하나를 학교에서 선정하여 수업에 사용하였다. 하지만 2015년 10월 12일 교육부에서 중·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 국정화 방침을 확정하면서 논란이 일고 있다. 한국사 교과서가 국정화가 된 것은 이번이 처음 있는 일은 아니다. 1945년 광복 이후부터 한국사 교과서는 검·인정 제도를 지속해 오다 박정희 정부 시절인 1974년 국정화가 된 전례가 있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