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강경삼가해』 함허 설의에 나타난 게송의 상관적 창작원리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ㆍ발행기관 : 한국고시가문학회
ㆍ수록지정보 : 고시가연구 / 41권
ㆍ저자명 : 전재강 ( Jeon Jae-gang )
ㆍ저자명 : 전재강 ( Jeon Jae-gang )
한국어 초록
조선 초기 탁월한 선승으로서 사상적 문학적으로 많은 업적을 남기고 후대 영향력을 크게 행사하고 있다는 점에 착안하여 함허의 게송을 논의의 대상으로 삼았다. 특히 중요하면서도 소홀히 다루어지고 있는 함허의 『금강경삼가해』 설의에 나타난 게송에 집중하여 논의를 진행했다. 작품을 이해하기 위해 게송을 창작하는데 사용한 기본 원리를 작품 창작의 상관적 맥락 속에서 구명하고 그런 원리에 의해 창작된 작품이 담당하는 기능을 전체적으로 논의하였다. 함허의 게송 창작에는 네 가지 원리가 상호 유기적으로 작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게송 창작 원리가운데 가장 두드러지는 것이 개념화와 형상화의 원리였다. 함허는 대상 작품이 형상화나 개념화의 원리를 보이는 경우 이를 관념어로 바꾸어 개념화의 원리에 의하여 게송작품을 창작하거나 아니면 이 두 경우의 작품을 대상으로 형상화의 원리에 의하여 게송을 창작했다. 개념화의 창작 원리에 기초한 작품은 접근하기 어려운 형상화된 대상 작품의 의미를 대중에게 드러내 보여 쉽게 이해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며 형상화의 창작 원리에 기초한 작품은 논리적 접근을 도우면서도 직관적 성찰을 통한 깨달음을 유발하는 기능을 담당했다. 또 다른 창작 원리는 반복과 역전의 원리였다. 반복의 창작 원리는 대상 작품이 나타내는 작품취지를 이으면서 대상작품 전체나 부분을 더 구체화하거나 논리적 비약을 보강하여 대상 작품의 의미를 분명히 드러내거나 대상 작품의 핵심 내용만을 압축하여 드러내어 이 원리에 기초한 작품은 독자들의 이해를 높이는 기능을 수행하였다. 그런데 역전의 창작 원리에 기초한 작품은 대상작품이 보여주는 의취와는 반대 내용을 읊음으로써 대상작품의 의미를 뒤집어 일상적 사유에 충격을 가하여 깨우침을 유발하는 기능을 수행했다. 역전은 표면상 대상 작품의 내용을 근본적으로 부정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는 대상 작품이 보여주고 있는 일면적 진실에 다른 일면을 드러내 보이기 위해서 사용된 창작 원리였다. 반복은 대상 작품의 비약을 보완하고 핵심을 드러냄으로써, 역전은 대상 작품의 또 다른 측면을 내보임으로써 이에 기초한 그의 게송 작품이 궁극에는 게송 대상의 근원자인 경전의 통체적 의미를 온전히 알리거나 깨우치는 기능을 수행한다는 것을 논의했다. 이 논의는 장차 함허 문학의 전모를 밝히기 위해 이 게송이 보여주는 문학으로서의 미학적 성격을 논의하는 데까지 나아가야 하며, 그의 다른 게송이나 독자적인 선시, 일반시 작품과 비교 연구하는 데까지 확대되어야 한다고 보았다.영어 초록
This paper is written in order to research for the principle of Hamheo’s composing Seon poetry in 『The Diamond Sutra explained by three experts』. Hamheo used four kinds of the principle of composing Seon poetry in 『The Diamond Sutra explained by three experts』: The principle of imagery, the principle of conceptualization, the principle of paraphrasing, the principle of reversing when writing Seon poetry about 『The Diamond Sutra』 and Yabu(冶父)’s Seon poetry, Jongkyeong(宗鏡)’s Seon poetry. So this is consisted of two big themes: The principle of imagery and conceptualization, The principle of paraphrasing and reversing. Firstl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inciple of imagery and conceptualization, Hamheo wrote conceptualization Seon poetry about imagery Seon poetry and conceptualization Seon poetry, and he wrote imagery Seon poetry about imagery Seon poetry and conceptualization Seon poetry. So there are four kinds of case, for example, the conceptualization Seon poetry to imagery Seon poetry, the conceptualization Seon poetry to conceptualization Seon poetry, the imagery Seon poetry to imagery Seon poetry, the imagery Seon poetry to conceptualization Seon poetry. Hamheo’s conceptualization Seon poetry was functioning to make readers understand object works and Hamheo’s imagery Seon poetry was functioning to make readers experience sudden enlightenment. Secondl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inciple of paraphrasing and reversing, Hamheo was paraphrasing object works in order to give more understanding and he wrote reversing Seon poetry about object works in order to represent the whole meaning of Dharma. These four kinds of the principle of his composing Seon poetry wielded strong influence to later Seon poetry developing. Although my having researched for the principle of Hamheo’s composing Seon poetry in 『The Diamond Sutra explained by three experts』 in two aspects, there can be the other subjects to study about these kinds of theme. I will continue researching the other kinds of theme being related with this contents soon.참고 자료
없음태그
"고시가연구"의 다른 논문
현대 여성 시조의 무의식 재현 방법 연구 ― 정수자·홍성란 시조를 중심으로 ―28페이지
여류시인의 사회적 요구에 대한 대처방식과 지향성 ― 송덕봉과 삼의당 한시(漢詩)를 중심으로 ―28페이지
최경창 시에 나타난 닫힌 공간의 의미24페이지
호남유배인의 문헌자료와 문화콘텐츠32페이지
노계가사에 대한 일고찰 ― 문학치료 서사이론을 중심으로 ―31페이지
목계(木溪) 강혼(姜渾)의 시에 나타난 정신세계(精神世界)25페이지
어촌 심언광 시에 형상화된 관동의 풍토성25페이지
彙報4페이지
유아문학교육의 방향성 연구 ― 동요, 동시 교육 강화를 제안하며 ―26페이지
‘관수정(觀水亭)’ 차운시를 통해서 본 누정의 이미지화 ― 송흠(宋欽)과 오응석(吳應錫)의 두 ‘관..24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