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광사업 관련 기업의 주가와 거시경제변수의 관계에 관한 연구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ㆍ발행기관 : 한국관광학회
ㆍ수록지정보 : 관광학연구 / 41권 / 10호
ㆍ저자명 : 신용재 ( Shin Yong-jae ) , 홍미영 ( Hong Mi-young )
ㆍ저자명 : 신용재 ( Shin Yong-jae ) , 홍미영 ( Hong Mi-young )
한국어 초록
본 연구는 관광사업 관련 기업의 주가와 거시경제변수 간의 관계를 살펴본 뒤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기간은 2003년 1월부터 2016년 12월까지의 총 1,206개월이다. 분석에 사용된 자료는 월별 자료로서 주가는 관광사업 관련 기업으로 한국거래소에 상장된 12개 업체의 종가에 해당하며, 거시경제변수로는 산업생산지수, 환율, CD금리 등이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패널 단위근 검정을 실시한 결과 주가 및 거시경제변수들의 수준 자료는 단위근이 존재하며, 차분 자료는 단위근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패널 공적분 검정을 통해 패널 및 그룹 차원에서 공적분이 존재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셋째, 패널 그랜저 인과관계분석 결과, 시차의 길이에 따라 유의성엔 차이가 있으나 산업생산지수, 환율, CD금리 등의 거시경제변수는 대체로 주가에 유의한 영향력을 미치며, CD금리는 주가와 상호 영향력을 주고받는 관계를 보였다. 넷째, 패널 회귀분석 결과, 전체 연구기간에서 산업생산지수와 환율은 주가에 각각 유의한 양(+)과 음(-)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전체 연구기간을 글로벌 금융위기 발생 이전과 이후의 하위기간으로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모든 하위기간에서 산업생산지수와 CD금리는 공통적으로 주가에 유의한 양(+)의 영향을, 환율은 유의한 음(-)의 영향을 미침을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거시경제변수가 주식수익률을 설명하는 공통요인이 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글로벌 금융위기가 거시경제변수와 주가의 관계에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패널 VAR(panel vector autoregressive)모형 및 패널 회귀모형을 도입하여 국내 관광사업 관련 기업의 주가와 거시경제변수의 관련성을 규명하고자 한 첫 시도로서 의의를 지닌다.영어 초록
We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stock prices for tourism business-related companies and macro-economic variables in Korea. We used stock prices of 12 tourism business-related companies listed on the Korean Stock Exchange. The focus was specifically macro-economic variables such as the industrial production index, the exchange rate, and interest rates of CD throughout the period of January 2003 to December 2016 and these factors were used for the empirical analysis. We employed a panel unit root test and a panel co-integration test. The panel Granger causality test based on a panel VAR (vector autoregressive) model because panel data estimation procedures offer more robust estimates by utilizing variations between individual stocks as well as demonstrating variations over time. We also employed an estimate panel regression model with a fixed effect. The results prove that all macro-economic variables including exchange rates, the industrial production index and CD interest rates all influence stock prices of tourism business-related companies. This is proven according to both a panel Granger causality test and a panel regression analysis used throughout this research. The results are evidence that macroeconomic variables contain significant information that can help forecast stock prices of tourism business-related companies. To our knowledge, this study is one of the first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stock prices of tourism business-related companies and macro-economic variables throughout Korea that employed panel VAR model and panel regression model.참고 자료
없음태그
"관광학연구"의 다른 논문
한식 레스토랑의 지각된 품질이 재방문 의도와 프리미엄 지불의사에 미치는 영향 - 경험적 가치의 매개..19페이지
차이나 리스크 발생이 국내 Hospitality산업에 미치는 경제적 효과 - 충격반응분석 및 조건부..16페이지
개고기 식용문화는 야만적인가, 아니면 한국 고유 음식문화인가에 대한 문화상대론적 논의18페이지
일제강점기 배경 TV 드라마 ‘경성스캔들’의 식공간 장면 분석16페이지
관광전공자의 지속가능발전교육(ESD)에 대한 수요 분석16페이지
근로생활의 질이 직무열의, 조직몰입 그리고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서울시내 5성급호텔 식음료직원..19페이지
관광객 시선에 따른 관광지 정체성 및 브랜드 가치와 방문성과 연구 - 서울지역 중국인관광객을 대상으..19페이지
프로그램 논리모형을 적용한 자연기반 치유관광의 정책적 함의 - 지속가능한 치유관광을 위한 정책 프레..19페이지
호텔산업의 직무-교육 불일치는 해소되는가? - 직무이동이론과 직무경쟁이론의 적용 -17페이지
관광정책환경이 문화관광 거버넌스의 운영과 정책성과에 미치는 영향 - 감천문화마을 주민협의회의 사례 ..17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