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정(草亭) 박수현(朴守玄)의 삶과 시세계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ㆍ발행기관 : 동방한문학회
ㆍ수록지정보 : 동방한문학 / 72권
ㆍ저자명 : 김묘정 ( Kim Myo-jung )
ㆍ저자명 : 김묘정 ( Kim Myo-jung )
한국어 초록
이 글은 草亭 朴守玄에 대한 첫 연구로 그의 삶과 문집 전체를 검토하고, 시세계 양상을 규명하고자 기획한 것이다. 그에 따라 小北八文章 중 한 명인 초정의 생애를 조명한 후 그의 시 작품에 드러난 대표적 특징 일부를 밝혀냈다. 초정의 시세계는 크게 세 가지 면모를 보인다. 첫 번째로는 초정 문학 세계의 기저가 되는 정치적 상황인 외연을 토대로 작품을 분석하여 그의 인식 세계가 일관적이라기보다는 갈등과 모순으로 점철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자아실현의 욕구 좌절로 인해 현실 속에서 겪는 갈등을 鬱憤으로 표출하는데 그치지 않고, 객관적 자기인식 과정을 동반해 현실과 이상의 간극을 좁힐 수 없음을 스스로 분석하고 조소했다는 특징을 지닌다. 두 번째로는 사적 기억을 다채롭게 활용해 悲嘆의 정서를 표현했다는 것이다. 초정의 輓詩는 사적 기억을 기저로 구성되었기에 진실성을 구비했다. 세 번째로는 초정의 詠物詩를 총괄하는 작업을 필두로 개별 작품의 특징을 면밀히 살펴보았다. 일상적 자연 경관과 객관적 거리두기를 실현해 완상 그 자체에 집중했다고 평할 수 있겠다.영어 초록
This writing is the first research of Chojung Park Suhyun(草亭 朴守玄); not only reviewing his life and overal anthology but also clarifying whole appearance of his poems. First of all, this author illuminates his life, who is a member of Sobukpalmoonjang(小北八文章). After that, this author tries to expiscate the characteristics of his poetic world. After the research, this author finds out three characteristics of his poetic world. First, this author considers his self-awareness based on the political situation. His self-awareness as the conflict and contradiction is expressed in his poem. Nevertheless, he not only expresses his anger but also appreciates himself objectively. There are his analysis and ridicule of himself in his poems. Second, he uses his personal memories with various descriptive methods in his poems. This emotional expression modes have integrity because it is based on his personal memories. Third, this author examines carefully the characteristics of his overall poems; he does not attempt empathy, but he concentrates to express real objects.참고 자료
없음태그
"동방한문학"의 다른 논문
『뉴산문고(杻山文稿)』에 나타난 이우신(李友信)의 문론(文論) 연구(硏究)34페이지
강정일당(姜靜一堂)의 도학시(道學詩) 세계(世界)31페이지
학고(鶴皐) 김이만(金履萬)의 시인(詩人) 의식23페이지
청풍(淸風)의 산수(山水)를 소재(素材)로 한 한문학(漢文學) 작품(作品)의 제특징(諸特徵) -구담..21페이지
직당(直堂) 신현국(申鉉國)의 생애와 사상30페이지
회당(晦堂) 윤응선(尹膺善)의 생애와 사상 -「지각문대(知覺問對)」를 중심으로-33페이지
의당(毅堂) 박세화(朴世和)의 「유성이전(柳聖邇傳)」에 대한 연구24페이지
의당(毅堂) 박세화(朴世和)의 의리정신(義理精神)의 구현(具現)41페이지
의당(毅堂) 박세화(朴世和)와 문인(門人)의 문학(文學)에 대한 연구43페이지
A Study on Seongjae Yu Jung-gyo36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