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촌계원 설문조사를 통한 어촌계 발전방향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ㆍ발행기관 : 한국동북아경제학회
ㆍ수록지정보 : 동북아경제연구 / 29권 / 2호
ㆍ저자명 : 김대영 ( Kim Dae-young ) , 이헌동 ( Lee Heon-dong )
ㆍ저자명 : 김대영 ( Kim Dae-young ) , 이헌동 ( Lee Heon-dong )
한국어 초록
이 논문은 현재 활력이 떨어진 어촌사회의 구심점인 어촌계의 활성화를 위한 발전방향을 제시하고자 한 것이다. 이를 위해 우선 어촌계가 직면하고 있는 문제점을 어업인과 전문가를 대상으로 면담을 통해 발굴하였다. 이들 문제점에 대해 어업인들은 어떻게 인식하고 해결방향은 무엇인지를 알아보기 위해 어촌계 설문조사를 실시했고, 마지막으로 어촌계 설문조사 결과를 토대로 시사점을 정리하면서 어촌계 발전방향을 제시하였다. 어촌계는 지구별수협의 조합원이 참여하여 행정구역·경제권 등을 중심으로 조직한다. 2015년 기준으로 어촌계는 전국 연안에 2,018개가 산재하고 있는데, 지역별로는 전남 848개소, 경남 464개소로 전체의 65%를 차지하고 있다. 이들 어촌계는 마을어업, 협동양식어업 등의 어업권을 이용하고 있다. 현재 어촌계가 직면하고 있는 문제점은 인력 감소 및 고령화 진전, 귀어인 등 신규인력에 대한 진입장벽, 어업권 어장의 이용·관리 부실, 신규 사업의 재원 및 운영능력 부족, 어촌계 지도·감독 기능 미 작동, 회계결산 및 어촌계장 선출을 둘러싼 내부 갈등 존재 등으로 정리할 수있다. 이러한 어촌계의 당면문제들에 대해 어촌계들은 어떻게 인식하는지 파악하고, 어촌계 발전방향을 도출하기 위해 전국 401개소 어촌계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어촌계 설문조사는 어촌계 주 업종 및 어촌계원 연령, 어업권의 종류 및 이용 실태 등의 일반내용, 귀어·귀촌인에 대한 인식 및 신규가입 희망 시 절차와 귀어·귀촌인 등 새로운 인력의 어촌계 유입 필요성, 신규인력 유입에 대한 수용 및 미수용 태도 등을 내용으로 하였다. 어촌계 설문조사 결과를 정리하면, 고령화 문제와 진입장벽 등이 공통적으로 존재하지만, 대부분 어촌계에서는 어촌 활성화를 위해 신규인력 유입, 새로운 형태의 공동체로 개편 등이 필요하다는 것을 인식하고 있었다. 향후 어촌계가 활력을 되찾아 어촌지역의 구심점이 되기 위해서는 배타성과 폐쇄성에서 벗어나 개방과 협력이 전제된 공동체로 재편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우선 새로운 인력을 유입하기 위해 어촌계 가입자격을 조합원에서 귀어업인 등으로 확대하여 어촌계 구역에 거주하는 어업인이 가입할 수 있도록 제도 개편이 따라야 한다. 다음으로 어촌계 운영의 투명성 제고하기 위한 어촌계 정관 및 규약, 결산보고 등을 공개해 나간다. 또한 시·군·구 및 지구별수협에서 어촌계 역량 제고 및 지도·감독의 강화가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어촌계 사업수행 능력과 경영 마인드를 제고하기 위해서 지역 밀착형 지원조직((가칭)어촌공동체 활성화 위원회)을 구성하여 어촌계 경영진단, 영어계획 수립, 신규 사업 발굴, 경영 컨설팅 등을 실시해 갈 필요가 있다.영어 초록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hallenges that fishing villages fraternity faces, and suggest options in revitalizing fishing village fraternity. The current problems in fishing village fraternity are the following. Shortage of labor, population aging, barrier against newcomers, poor use and management of fishing ground, lack of funds for new projects, insufficient guidance and supervision functions of fishing village fraternity and its internal conflicts etc.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on 401 fishing village fraternities, identified the awareness of its problems, and proposed a development direction. According to the survey results, fishing village fraternities recognized the problems of population aging and the considerable barriers involved in the entry for migrants. Attracting new human resources and restructuring fishing villages seemed essential. First, the development direction for changing fishing village fraternity requires openness and cooperation departing from the exclusive and closed community. In order to attract young migrants, fishing village fraternity should be more open. Thus, the fishing village fraternity should accept not only those members of the Fisheries Cooperative Union, but also those returning to fishing village fraternities. In order to accomplish this goal, institutional reforms should be accompanied. Second, disclosing information such as the article of association and regulation of fishing village fraternity is necessary. The guidance and supervision offered to fishing village fraternity should also be strengthened in the regional level. Third, it is necessary to form a support organization that can offer assistance in establishing a plan, and help find a new project that can improve the project performance capacity and business mindset of the fishing village fraternity.참고 자료
없음태그
"동북아경제연구"의 다른 논문
초등 및 중학생을 위한 사옥도와 증도 일대 야외지질학습장 개발 및 활용방안19페이지
농어촌 지역 일개 치과병원의 의료서비스 품질이 고객만족도에 미치는 영향13페이지
일부 농어촌지역 치과위생사의 조직몰입과 직무만족, 행복지수에 관한 조사연구20페이지
일부 농어촌 지역아동센터 교사의 구강건강신념과 구강건강 지식, 태도, 행동에 관한 조사21페이지
농어촌 거주 노인의 주관적 생활만족도 결정요인18페이지
한국 김 종자 생산현황과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19페이지
김양식 기술 발전과정의 한·일비교33페이지
북한과 동북아시아 국가의 기술 수준과 상호의존 분석35페이지
일본의 조선업(造船業) 재생(再生)과 발전(發展)에 관한 연구 -i-Shipping전략(戰略)을 중..24페이지
중국 장쑤성 중소기업의 사금융 실태에 관한 연구24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