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완대체 보고서(논문요약) -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아동을 위한 집단 미술치료 프로그램의 효과
- 최초 등록일
- 2017.06.21
- 최종 저작일
- 2016.04
- 5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3,000원

목차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2. 연구목적 및 가설
Ⅱ. 연구 방법
1. 연구설계
2. 연구대상
3. 연구측정 도구
Ⅲ. 연구 결과
1. 집단 미술프로그램의 효과
2. 논의
3. 결론 및 제언
4. 미술요법을 임상에서 사용 할 수 있다고 생각한 이유
Ⅳ. 출처
본문내용
- 서론
● 연구의 필요성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는 학령기 아동의 흔한 정신과적 질환으로 과잉활동증, 부주의, 충동성이 주요 증상이다. 주의력결핍은 인지영역의 장애인 반면 과잉활동증과 충동성은 행동영역의 장애들로서 여러 가지 정신의학적 문제를 동반한다. 즉 가정생활 뿐 아니라 학교생활에서 통제가 어렵고 학습부진 내지 학습장애, 공격적행동, 분노발작 또는 또래들과의 잦은 싸움으로 인한 사회적 고립감 및 소외감 등을 나타낸다. 이상과 같은 문제들이 내향화되면서 정서적 불안정, 사회적 위축, 자존심의 결여 등이 부수적으로 수반된다.
미술치료는 미술을 심리치료와 점목시킨 예술치료의 한 영역으로서 미술치료활동은 그림을 통해서 내담자의 심리상태를 진단하고 미술작업을 통해 내부의 부정적인 에너지를 배출, 갈등을 해소하는 유용한 치료법이다. 시각매체를 사용하여 내담자 내면의 심상을 표현하게 함으로써 무의식을 활성화시키고, 그 속에 묻힌 창조적 기능을 자극하여 무의식에 잠자는 자가 치료능력을 발휘하게 하여 내면의 왜곡, 상실, 억제되었던 부분을 재발견하고 통합시킴으로써 인격의 발전을 가져 올수 있게 하는 것이다.
참고 자료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179355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아동을 위한 집단 미술치료 프로그램의 효과
김인홍 /Kim, Inhong 1(동국대학교)
발행기관 : 정신간호학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