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캠퍼스북
  • 파일시티 이벤트
  • LF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김영삼 정부의 교육정책 결정 구조와 과정: 5.31 교육개혁안을 중심으로

(주)학지사
최초 등록일
2017.06.14
최종 저작일
2015.06
26페이지/파일확장자 어도비 PDF
가격 5,5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발행기관 : 한국교육정치학회 수록지정보 : 교육정치학연구 / 22권 / 2호
저자명 : 김재웅

목차


Ⅰ. 문제의 제기
Ⅱ. 이론적 배경: 교육정책의 결정 과정 분석을 위한 모형
1. 신현석(1996)의 문민정부 교육개혁 형성과정의 정치학적 분석
2. 정기오(2013)의 정책 네트워크 개념과 의제주도 정책과정
3. 진동섭·이윤식·김재웅(2014)의 교육정책의 과정모형
4. 김영삼 정부의 교육정책 결정 과정 분석 모형
Ⅲ. 김영삼 정부 교육정책 결정의 구조와 과정 분석
1. 교육개혁위원회 내부의 개혁안 성안의 구조와 과정
2. 관련 법령의 제정 또는 개정을 통한 교육정책 결정
Ⅳ.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한국어 초록

이 연구는 김영삼 정부의 교육정책 결정 구조와 과정을 문헌연구에 의존하여 분석하
였다. 연구결과, 교육개혁위원회가 청와대 비서실과 긴밀한 협조관계 속에서 정책의제
를 던지고, 교육부가 중심이 되어 국회 등의 도움을 받아 해당 법률의 제정 또는 개정
을 통하여 정책결정에 참여하였음을 밝혔다. 의제설정 과정에서 가장 주도적으로 역할
을 수행한 집단은 대통령의 지지를 받고 있던 교육개혁위원회이다. 신자유주의의 흐름
이라는 개혁의 방향에 대해서는 교육개혁위원회 내의 비교육계 인사들이 청와대 비서
실과의 조율 속에서 주도하고, 구체적인 개혁안의 수립에는 합리성과 전문성을 지닌
전문위원 등 교육계 인사가 주도적인 역할을 수행하였다. 이어지는 교육정책 결정 과
정에서는 5.31 교육개혁안을 입법화할 책임을 지고 있는 교육부가 핵심적인 역할을 수
행하였으며, 교육부 장관과 장관을 보필하는 행정고시 출신 고급 관료들의 역할이 두
드러졌다. 그리고 개혁안과 관련된 법률의 수준에 따라 국무회의와 국회가 협조적으로
참여하였다. 교육정책결정 과정에 교사집단의 보다 적극적인 참여가 요구되며, 국가 수
준의 법률적 기구로서 교육개혁 담당기구를 둘 필요가 있다.

영어 초록

This study tried to explain the policy-making process of the Kim Young
Sam Government, relying on the review of related literature, as two stages
as follows: at the first stage policy agenda was set up by the Presidential
Commission on Education Reform(PCER) in cooperation with Secretary to the
President for Education, and Ministry of Education began to activate the
policy formation process through the legalization for the policy tasks, which
needed the help form the side of the National Parliament or Cabinet
Council. The PCER, fully supported by the President, took the initiative
during the whole policy process.
It was told that neo-liberalism was pervaded in the May 31 Educational
Reform, propagated by non-education experts working for the PCER in
accordance with the Presidential Secretary. The guidelines were followed by
the specification procedures played by the educational experts in the PCER
with rationality and professionalism. Mass-communication, interest groups,
and educational scholars were involved in the policy process in a positive
and cooperative mood, which contributed to the successful policy formation.
Also, the Ministry of Eduction, especially the Minister and the high-level
bureaucrats, being responsible for the response to the command from the
President given as May 31 Educational Reform, played the key role in the
policy-making process, which was highlighted in the legalization. The
National Assembly, The Cabinet Council, and the Ministry itself were
participated in terms of the level of the policy measures. Little problem was
found in this process under the supportive atmosphere.
Finally, teachers’associations need to participate more actively in the policy-making process, and the educational reform organization at the
central government as a permanent legal institution needs to be established
for the stable implementation of educational reform policies.

참고 자료

없음

자료문의

제휴사는 별도로 자료문의를 받지 않고 있습니다.

판매자 정보

마음과 세상을 연결하는 학문의 전당을 꿈꾸며 학지사는 단순히 책을 출판하는 곳이 아니라 인간의 마음을 아름답고 풍요롭게 하는 종합적인 학문 서비스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주의사항

저작권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찾던 자료가 아닌가요?아래 자료들 중 찾던 자료가 있는지 확인해보세요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김영삼 정부의 교육정책 결정 구조와 과정: 5.31 교육개혁안을 중심으로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