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주재 러시아 공사 베베르의 부임에 관한 외교문서 분석
저작시기 2017.01 |등록일 2017.02.17
어도비 PDF (pdf) | 23페이지 | 가격 6,000원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ㆍ발행기관 :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지역연구센터
ㆍ수록지정보 : 국제지역연구 / 20권 / 5호
ㆍ저자명 : 김종헌, 우준모
ㆍ저자명 : 김종헌, 우준모
목차
Ⅰ. 서론Ⅱ. 조선의 개국정책과 러시아 접근
Ⅲ. 영국의 해밀턴 항 점령과 열강의 상반된 이해
Ⅳ. 베베르 공사 파견 결정 배경
Ⅴ. 베베르에게 하달된 임무와 그의 부임
Ⅵ.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한국어 초록
19세기 말 러시아의 국력은 여타 서구 열강들과 주도권 경쟁을 펼칠만한 수준이 되지 못했다. 그로 인하여 러시아는 조선과 접경국임에도 불구하고 미국과 영국, 독일 등이 조선과 수교조약을 체결한 다음에서야 조러수호통상조약을 체결할 수 있었다. 조약 체결 이후에도 러시아는 자국 대표를 조선에 파견할 적절한 상황과 시점을 찾고 있었다.이 연구는 러시아의 초대 조선 주재 공사 베베르의 부임에 얽힌 동북아시아 국제정세를 러시아와 영국의 고문서보관소 사료들을 발굴하여 분석한다. 1885년 영국이 해밀턴 항을 점령하자 러시아는 베베르 공사의 조선 파견을 결정했다. 러시아는 베베르를 통해 영국의 해밀턴 항 점령 문제를 외교적으로 해결하고자 했다. 베베르 공사는 조선에 대한 러시아의 적극적인 보호와 지원을 내세우며 조선을 비롯한 동북아시아에서 러시아의 이익이 침해받지 않도록 온갖 노력을 기울였다. 이 연구의 의의는 영국의 해밀턴 항 점령사건이 러시아로 하여금 적극적인 대 조선외교정책을 불러왔음을 공식적인 외교문서로 확인했다는데 있다.
영어 초록
At the end of the 19th century, Russia"s national power was not enough to compete with other Western powers. Therefore, Russia could not hasten to conclude the "Treaty of Protection and Trade" with Chosun, only after the United States, Britain, and Germany concluded a treaty, Russia was able to conclude the treaty. After the signing of the treaty, Russia was looking for a appropriate time to send its representative(envoy) to Chosun.This study examines the materials from archives of Russia and British and examines the international situation of Northeast Asia related to Weber"s appointment as the first Russian envoy to Chosun. When the British occupied Hamilton Port in 1885, Russia decided to appoint Weber to Chosun. Russia tried to resolve the issue of British occupation of Hamilton diplomatically through Weber. The envoy Weber has made every effort to ensure that the Russia"s interests are not infringed in Chosun and Northeast Asia, by proactively protecting and supporting Chosun.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the British occupation of Hamilton port brought Russia"s active foreign policy toward the Chosun, and that is confirmed through official documentary sour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