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업치료가 다문화 가정의 특수 아동의 학습능력발달에 미치는 효과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ㆍ발행기관 : 한국열환경공학회
ㆍ수록지정보 : 열환경공학 / 2권 / 2호
ㆍ저자명 : 김미점
ㆍ저자명 : 김미점
목차
Ⅰ. 서 론Ⅱ. 연구목적 및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고찰
Ⅴ. 결론
참고문헌
한국어 초록
연구목적본 연구는 작업치료가 다문화 가정의 특수 아동의 학습능력발달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 알아보는 것
이다.
연구방법
2010년 2월부터 10월까지 청양군지역의 다문화 가정의 특수 아동 4명을 대상으로 작업치료를 실시하
여 그 결과를 서비스 시작 시와 10월 평가 시로 구분하여 시각적 그래프로 나타냈다.
연구결과
청양군지역의 다문화 가정의 특수 아동을 대상으로 작업치료를 실시하고 그 후의 학습능력발달의 변화
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4명의 특수 아동의 프로그램 실시 시와 10월 평가 시의 학습능력발달의 변
화는 평균 인지 4.75점, 사회성/정서 4.25점, 대운동 3.75점, 소운동 4.5점이 향상되었다.
결론
연구 결과 다문화 가정의 특수 아동의 서비스 지원에 있어서 작업치료가 학습능력발달의 전영역에 효
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다문화 가정의 특수 아동의 학습능력발달을 위해 작업치료 서비
스가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영어 초록
Objective :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effect of Occupational Therapy on the affected learning abilitydevelopment of the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with specific problems.
Method : 4 specific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in Cheongyang-gun were studied from February
2010 to October 2010. This study's analysis program was generated by Visual Graph.
Research : The effect of Occupational Therepy showed that out of the 4 children, the total average was
improved in cognitive ability at 4.75, social/emotion ability at 4.25, gross motor ability at
3.75, and fine motor ability at 4.5 out of the learning ability development checklist.
Conclusion : On the basis of the above findings, we may summarize as follows. First, a specific child of
multicultural families improved on cognitive ability, social/emotion ability, gross motor ability
and fine motor ability of their learning ability development by Occupational therapy service.
Second, a specific child of multicultural families especially needs occupational therapy for
their learning ability development.
참고 자료
없음"열환경공학"의 다른 논문
경남지역 작업치료사의 병원감염관리에 대한 인식, 수행도와 임파워먼트 조사15페이지
국내 노인의 인지건강관리 중재에 관한 체계적 분석 : 작업치료 서비스 형태에 대한 제언10페이지
노인환자들의 재활치료 후 수단적 일상생활활동에 대한 연구8페이지
치매 환자 가족을 대상으로 치매에 대한 지식수준 조사연구10페이지
다문화 가정의 아동을 위한 작업치료 서비스 지원의 필요성에 관한 고찰6페이지
왼손잡이의 가위사용에 관한 체계적 고찰7페이지
발달장애인 평생교육에 참여한 복지관 종사자의 프로그램 운영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28페이지
장애자녀 부모의 양육효능감에 관한 국내 중재 연구 동향 분석 -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 제..22페이지
중증장애인 자립생활 지원 관련 연구 동향 분석20페이지
교육 및 치료적 관점의 요리활동 관련 연구동향 분석 - 2000년 ~ 2015년 국내 학술지를 중심..28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