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ㆍ발행기관 : 공주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ㆍ수록지정보 : 교육논총 / 53권 / 4호
ㆍ저자명 : 김은정, 진선숙, 박일수, 우상도, 신수범, 한명숙
ㆍ저자명 : 김은정, 진선숙, 박일수, 우상도, 신수범, 한명숙
목차
Ⅰ. 서 론Ⅱ. 이론적 배경
Ⅲ. 미래형 융합교육과정 개발
Ⅳ. 미래형 융합교육과정의 적용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 고 문 헌
한국어 초록
본 연구에서는 창의, 인성, 고전, 지역 연계 등을 각 교과목에서 융합시키는 미래형 융합교육과정모델을 개발하고 적용 결과를 분석하여 교육적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삼았다. 2015년 제
2학기에 공주교육대학교에서 20개의 강좌가 ‘창의, 인성, 교과융합, 고전, 지역연계’의 키워드와
융합하여 운영되었다. 그 적용의 결과 및 교사 양성 교육과정 운영 면에서 얻은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다섯 가지 키워드와 융합된 강좌들은 교과목 중심의 융합이 가능하다. 수학과 인성이 융합
된다든지, 음악과 체육이 융합되고, 고전읽기와 창의적 글쓰기가 융합되는 등의 융합이 이루어졌다.
둘째, 미래형 융합교육과정을 통해 학생들은 다섯 가지의 융합 키워드를 경험하고 현장에서 요구되는
지식 뿐 아니라 대처방식과 운영방법을 효율적으로 익히게 된다.
셋째, 본 연구에서 보인 미래형 융합교육과정을 통해 학생들이 체험한 협업, 실제적 경험, 특강 등은
기존 강좌의 수업보다 더 적극적이고 효율적인 교사교육을 제공한다.
영어 초록
This study aims at developing a future convergence curriculum model byincorporating the key words such as creativity, ‘character’, ‘classics’, and
‘community network’ in 20 courses and analysing the results of applying the
developed curriculum model in the fall semester of 2015. The results of the
application of the developed model are as follows: (1) The convergent courses based
on the key words include courses that integrate two subjects such as mathematics
and character, music and physical education, and reading classics and creative
writing.; (2) The students learn not only necessary knowledge for teaching but
coping methods and managing skills required at schools through the future
convergence curriculum focusing on the key words.; (3) The students participate
actively in the class and have more opportunities for cooperation, real experience,
and special lectures through the future convergence curriculum. This study will
provide guidelines for developing a convergence curriculum for teacher-training
institutions and lead further studies in developing and implementing convergence
curriculum in universalities in general.
참고 자료
없음"교육논총"의 다른 논문
초등학교 스포츠강사들의 역할에 따른 갈등과 극복형태19페이지
컴퓨터적 사고를 지원하는 초등로봇교육과정18페이지
식생활 교육 학과목 개설 및 운영에 관한 연구18페이지
초등학교 신규 교사의 소진에 관한 연구16페이지
교대 신입생의 대학입학전형에 대한 인식17페이지
Cross-border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in Element..13페이지
초등학교 영어 부진아 지도를 위한 문자언어 지도 방안22페이지
중다회귀모형과 구조방정식모형에 의한 각종 효과 산출방법의 비교26페이지
초등 예비교사의 영어 단어강세 및 문장강세의 인지 및 실현14페이지
A Study on Principles for Teaching English Listening Sk..14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