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ㆍ발행기관 : 우리말학회
ㆍ수록지정보 : 우리말연구 / 27권
ㆍ저자명 : 김동환
ㆍ저자명 : 김동환
목차
1. 인지언어학의 개요2. 인지모형
3. 인지과정
4. 인지언어학의 미래
참고문헌
ABSTRACT
한국어 초록
이 글은 인지언어학의 개요를 살펴보면서, 인지언어학의 방법론을 제시하고, 향후 인지언어학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모색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인지언어학은 1970년대 후반과 1980년대 초반에 출현했으며, 두
가지 면에서 형식언어학이나 기능언어학과 구분된다. 첫째, 인지언어학은
언어의 인지적 토대인 인지적 신념을 중요하게 받아들인다. 즉, 인지언어
학은 인지과학과 뇌과학의 연구결과에 비추어 언어를 기술하고자 한다.
둘째, 인지언어학자들은 일반화 신념을 고수한다. 일반화 신념이란 언어
지식을 구성하는 본질과 원리를 인지 능력의 결과로 기술하려는 신념이
다. 이런 독특한 신념을 가진 인지언어학의 연구 방법론은, 크게 인지모
형과 인지과정으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다. 이 논문에서는 인지모형 중에
서 시나리오와 프레임을 검토하며, 인지과정으로서는 개념적 은유와 개념
적 혼성을 검토한다. 특히 개념적 혼성의 설명력을 부각하면서, 향후 개
념적 혼성 이론의 발전 가능성을 많이 암시했다.
영어 초록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uggest the methodology of cognitive linguisticsresearch, presenting the basic ideas of cognitive linguistics and to search for the
direction in which cognitive linguistics will have to progress. First, it presents the
objective of cognitive linguistics, and enumerates cognitive linguistics scholars from
the first generation to the third, by looking at the academic field with much weight
on its scholars. Then, it presents the basic texts introducing cognitive linguistics.
Next, it examines how cognitive models such as frames and scenarios explain
linguistic expressions. Finally, in view of cognitive process, it briefly presents
conceptual metaphor theory and conceptual blending theory, presenting distinct
characteristics of each theory and demonstrating the explanatory power of the two
theories with specific examples. Recognizing that cognitive linguistics is not a
completely unified linguistic theory, it suggests the direction in which cognitive
linguistics will have to progress in the future.
참고 자료
없음태그
"우리말연구"의 다른 논문
유머의 유형 분류에 관한 고찰 - 유머의 원리와 구조를 중심으로 -31페이지
현행 학교 문법에 나타난 두 가지 모순점 - ‘자릿수’ 설정과 관련하여 -27페이지
한국어 교재에서의 문법 항목 제시 방안 연구 - 보조 용언을 중심으로 -23페이지
중등학교 문법 학습 내용의 연계성 연구 - 개정 교육과정을 중심으로32페이지
언어 수행 수준과 읽기 상관관계 연구35페이지
옛말의 문법 교육을 위한 약어와 약호의 체계 - 어절의 내부 짜임새 분석을 중심으로 -27페이지
삼척 지역어의 조사 중가 현상에 대하여25페이지
국어의 인접 자음의 동일성에 대하여18페이지
후행모음의 피치를 고려한 한국어 평음, 경음, 격음의 인지 실험22페이지
주관화와 의미 해석 - 개념화자를 중심으로 -26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