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부의 내부 교통존 세분화 방법론 제시
(주)학지사
- 최초 등록일
- 2017.02.01
- 최종 저작일
- 2015.02
- 4페이지/
어도비 PDF
- 가격 1,500원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ㆍ발행기관 : 대한교통학회
ㆍ수록지정보 : 대한교통학회지 / 72권
ㆍ저자명 : 김정인, 김익기
목차
Ⅰ. 서론
Ⅱ. 기존 문헌 고찰
Ⅲ. 통행분포 모형 구축
Ⅳ. 결론
참고문헌
한국어 초록
한국교통연구원은 수도권 및 광역권의 기종점 자료를 행정동 단위로 교통존을 세분화하여 배포하고 지방부는 자료의 한계로 시군구
단위로 교통존을 구축하여 배포한다. 도로 및 철도사업에서 사업 주변 지역에 정교한 통행패턴을 분석하기 위해서 내부 교통존을 세분
화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시군구 단위의 지방부 내부 교통존을 행정동 단위로 세분화하는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수도권 및
광역권 기종점 자료의 공간적인 통행분포 패턴을 수학적으로 모형화하고 이를 지방부에 적용하여 세부존 간 통행량을 산출하였다. 즉,
수도권 및 광역권 자료를 토대로 직접수요모형과 중력모형의 파라미터를 정산하고 회귀분석을 수행하여 통행분포 패턴을 잘 설명하는
모형을 선별하였다. 분석 결과, Power function을 저항함수로 정산한 중력모형이 내부 통행패턴을 우수하게 설명하는 것으로 분석되
었다. 또한, 인구 밀도를 범주화하여 모형의 파라미터를 재정산하고 이를 지방부의 내부 교통존에 적용하여 최종적으로 세부존 간 통행
량을 예측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세분화 방법론을 이용하여 도로 및 철도 사업 주변 지역에 통행패턴을 정교하게 분석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된다.
참고 자료
없음
"대한교통학회지"의 다른 논문
더보기 (5/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