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술치료학 석사학위과정생의 우울증 청소년 미술치료 현장실습 체험연구

(주)학지사
최초 등록일
2017.02.01
최종 저작일
2016.10
25페이지/파일확장자 어도비 PDF
가격 5,4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발행기관 : 한국미술치료학회 수록지정보 : 미술치료연구 / 23권 / 5호
저자명 : 송지선, 장연집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및 절차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한국어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미술치료학 석사학위과정생의 우울증 청소년 미술치료 현장실습 체험의 본질과 그 의미를
밝혀내는 것이다. 본 연구의 연구 참여자 총 11명의 평균 연령은 30세였고, 이들은 미술심리치료학 석사학위과
정에 재학 중인 자, 석사학위 과정을 수료한 자, 석사학위 졸업자로, 이들은 석사학위과정 중에 우울증 청소년
을 대상으로 미술치료 실습의 경험이 있다. 자료 수집은 2015년 8월부터 11월까지 4개월 간 심층면담을 통해
이루어졌다. 본 연구는 van Manen(1990/1994)의 해석학적 현상학 연구 방법론을 적용하였고, 수집된 자료를 분
석하여 9개의 본질적 대주제와 33개의 하위 주제를 도출하였다. 9개의 본질적 주제는 우울증 청소년이 마음의
문을 열 수 있도록 심혈을 기울이지만 난관에 부딪힘, 초보 실습자인 나의 무능력함을 통감하며 갈피를 잡지
못하고 혼란스러움, 우울증 청소년을 보면서 올라오는 감정과 나의 문제를 깨달음, 우울증 청소년을 기다려주
고 버텨주는 것은 힘들지만 필요한 시간임을 깨달음, 진심을 전하는 미술치료사가 되기 위해 최선을 다함, 미
술치료가 지닌 치료적인 힘을 몸소 체험하게 됨, 이론을 실제에 적용하고, 현장경험의 필요함을 절실함, 수퍼비
전을 통해 도움을 받고 동기들에게 든든한 지지를 받음, 미술치료사로 성장하는데 발판이 됨, 이상이다.

영어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art therapy trainees' experience of art therapy with
adolescents with depression. The data was collected with 11 art therapy intern students who were enrolled
in an art therapy master's course. The participants had over three months of art therapy practical training
with adolescents with depression. The in-depth interviews conducted over for four months, from August
2015 to November 2015.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in accordance with van Manen’s (1990/1994)
hermeneutic phenomenological qualitative methods, and as a result, nine essential topics and 33 sub topics
were identified. The nine essential topics are as follows: (a) facing difficulties from building relationships
with adolescents with depression; (b) having confusion by realizing incompetence, not knowing what to do
and feeling confusion; (c) realizing my personal issues with emotions from dealing with adolescents with
depression; (d) even though supporting and standing by depressed adolescents was exhausting, feeling the
need for these moments; (e) trying to be an art therapist working with authenticity; (f) through art-making
process and art works, having had experienced the possibility of art therapy; (g) applying theories into
reality, and realizing the need for field experiences; (h) receiving helps from supervision, classes and peer
support; (i) became a stepping stone for being a more mature art therapist.

참고 자료

없음

자료문의

제휴사는 별도로 자료문의를 받지 않고 있습니다.

판매자 정보

마음과 세상을 연결하는 학문의 전당을 꿈꾸며 학지사는 단순히 책을 출판하는 곳이 아니라 인간의 마음을 아름답고 풍요롭게 하는 종합적인 학문 서비스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주의사항

저작권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찾던 자료가 아닌가요?아래 자료들 중 찾던 자료가 있는지 확인해보세요

더보기
최근 본 자료더보기
  • 뮤지컬 베토벤
  • 프레시홍 - 주꾸미
  • 프레시홍 - 주꾸미
미술치료학 석사학위과정생의 우울증 청소년 미술치료 현장실습 체험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