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하된 단어인지도를 보이는 장기 보청기 착용자의 청능훈련 사례

(주)학지사
최초 등록일
2017.02.01
최종 저작일
2016.01
5페이지/파일확장자 어도비 PDF
가격 1,5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발행기관 : 한국청각언어재활학회 수록지정보 : 청능재활 / 12권 / 3호
저자명 : 이재희, 이승곤, 방정화

목차

INTRODUCTION
Materi als and METHODS
RESULTS
DISCUSS IONS
REFERENCES

한국어 초록

영어 초록

Purpose: Auditory training involves active listening to auditory stimuli. Auditory training has been reported to enhance performance in
various auditory tasks, supplementing the limitation of hearing aids. The purpose of this case was to determine efficacy of 10-week auditory
training for two hearing aids (HA) users even though they have used hearing aids more than 10 years but having little satisfaction
on their HAs. Methods: We conducted a 10-week in-laboratory audiotory training (one session per week, about 1 hour per session).
Four types of materials (environmental sounds, consonants, sentences, and crossword quiz) were used as training stimuli. Difficulty level
for training was adjusted focusing on the use of an adaptive method. To examine the efficacy of the 10-week training, the recognition
abilities of environmental sounds, consonants, words, and sentences were compared before and immediately after the training. As a
subjective outcome, the Korean Evaluation Scale for Hearing Handicap (KESHH) questionnaire was also conducted before and after
training. To examine retention of training effects, we conducted the same evaluations at 10-week, one month and seven months after
the completion of training. Results: The recognition scores of all stimuli were improved immediately after 10-week training. The results of
the self-reported questionnaire of KESHH demonstrated that auditory training reduced subjective handicap from impaired hearing, indicating
that auditory training positively affected individual’s subjective satisfaction of HA. The training efficacy appeared to be maintained
even seven months after the completion of training. Conclusion: Auditory training was effective to improve recognition performance as
well as the subjective satisfaction of own HA for unsatisfactory HA users.

참고 자료

없음

자료문의

제휴사는 별도로 자료문의를 받지 않고 있습니다.

판매자 정보

마음과 세상을 연결하는 학문의 전당을 꿈꾸며 학지사는 단순히 책을 출판하는 곳이 아니라 인간의 마음을 아름답고 풍요롭게 하는 종합적인 학문 서비스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주의사항

저작권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찾던 자료가 아닌가요?아래 자료들 중 찾던 자료가 있는지 확인해보세요

더보기
최근 본 자료더보기
  • 프레시홍 - 주꾸미
  • 르네셀 화장품
저하된 단어인지도를 보이는 장기 보청기 착용자의 청능훈련 사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