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조공학 성과에 대한 자기보고형 평정척도를 사용한 시각장애인근로자의 직무 생산성 향상 예측
(주)학지사
- 최초 등록일
- 2017.02.01
- 최종 저작일
- 2016.09
- 19페이지/
어도비 PDF
- 가격 4,800원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ㆍ발행기관 : 한국시각장애교육재활학회
ㆍ수록지정보 : 시각장애연구 / 32권 / 3호
ㆍ저자명 : 양현규
목차
I. 서 론
II.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IV. 논의 및 결론
한국어 초록
본 연구는 보조공학 성과에 대한 자기보고형 평정척도를 사용하여 시각장애인근로자의 직무 생산성
향상을 예측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에서 수행한 2013 보조
공학기기 지원사업 관련 조사의 원시자료에서 시각장애인근로자들의 보조공학 기기 만족도, 보조공학
서비스 만족도, 작업수행능력에 대한 조사 자료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이 자료에 대해 ROC(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곡선으로 분석하여 세 가지 자기보고형 평정척도의 직무 생산성 향상 예측
정확도를 분석하였고, 예측 가능하게 하는 평정척도 점수를 지수로 제시하였다. 분석을 통한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두 개의 보조공학 만족 평정척도는 시각장애인근로자의 직무 생산성 향상을 예측할
수 없었다. 둘째, 업무수행능력 평정척도의 점수가 12이상일 때 시각장애인근로자의 직무 생산성 향상을
예측할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런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보조공학 성과에 관한 연구가 나아갈
방향을 제언하였다.
영어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edict the job productivity improvement of
workers with visual impairments using self-reported rating scales for assistive
technology outcomes. The dataset to be analyzed was obtained from the raw data
included in 2013 satisfaction survey for the assistive technology provision program,
which was conducted by Employment Agency for the Disabled(KEAD). Three rating
scales to measure assistive technology outcomes(assistive technology device
satisfaction, assistive technology service satisfaction, and job performance) were
analyzed by ROC(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curve to identify the predictability
of job productivity improvement of workers with visual impairments. The results of
these analyses we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wo rating scales for assistive
technology satisfaction could not predict the job productivity improvement of workers
with visual impairments. Second, the rating scale for the job performance could
predict the job productivity improvement of workers with visual impairments when
total measured score was 12 or more. Based on these results, the future directions of
the researches on assistive technology outcomes were suggested.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