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증장애인의 장애차별경험이 자아존중감을 매개로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장애유형 및 취업유무 집단비교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ㆍ발행기관 : 한국장애인복지학회
ㆍ수록지정보 : 한국장애인복지학
ㆍ저자명 : 조혜정, 윤명숙
ㆍ저자명 : 조혜정, 윤명숙
목차
1. 서론2. 이론적 배경
3. 연구방법
4. 연구결과
5.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한국어 초록
본 연구는 중증장애인의 장애차별경험이 자아존중감을 매개로 생활만족도에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 이 관계가 장애유형 및 취업유무에 따라 집단 간 차이
가 있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에서
조사한 제5차 장애인고용패널조사 데이터를 활용하였다. 응답자 중 경제활동이
가능한 19-64세 성인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이중 중증 신체외부장애인 862명과
정신장애인 327명(총 1,189명)의 자료를 추출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
과 같다. 첫째, 중증장애인의 장애차별경험은 자아존중감을 매개로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부분매개효과로 검증되었다. 둘째, 신체외부
장애인과 정신장애인간의 모형 및 경로계수의 차이가 없었으며, 두 집단 모두 장
애차별경험과 자아존중감이 생활만족도의 예측요인이었다. 셋째, 취업집단과 비
취업집단 간의 모형 및 경로계수의 차이가 나타났다. 취업집단의 경우 장애차별
경험은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쳤으나 장애차별경험과 자아존중감은 생활만족도
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중증장애인의 장애차별 감소와
자아존중감 및 생활만족도 향상을 위한 실천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영어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of discrimination experience mediated withself-esteem on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severely disabled people and group difference of
employment and disability type. For this purpose, the 5th Panel Survey of Employment for the
Disabled were used. The subject were adults at the age of 19-64, who were able to participate
in the economic activity. Among the respondents, the data of 1,189 of the severely disabled people
with physical and mental health were analyzed by AMOS. The major outcome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discrimination experience of the severely disabled people had an effect on
the life satisfaction by the medium of self-esteem, and this was verified with partial mediated
model. Second,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model and path coefficient between the severely
disabled people with physical and mental health, while the discrimination experience and self-esteem
were predictors of the life satisfaction with two groups. Third, there was a difference of the model
and path coefficient between the employment group and the unemployment group. In the case
of the employment group, the discrimination experience had an effect on self-esteem, while the
discrimination experience and self-esteem did not have effects on the life satisfaction. With the
outcomes of this research, the direction of practice for reducing discrimination of the severely
disabled people and for increasing the life satisfaction and self-esteem were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