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 관광확산의 추동요인에 대한 사회문화적 분석 -한국사회에서의 관광동향 및 변화상에 대한 고찰을 중심으로-
(주)학지사
- 최초 등록일
- 2017.02.01
- 최종 저작일
- 2014.11
- 23페이지/
어도비 PDF
- 가격 5,200원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ㆍ발행기관 : 한국여가문화학회
ㆍ수록지정보 : 여가학연구 / 12권 / 2호
ㆍ저자명 : 민웅기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Ⅲ. 결론
참고문헌
한국어 초록
본 연구는 현대사회에서 관광이 확산된 복잡다단한 사회문화적 요인을 체계, 행
위, 관계, 문화의 4가지 영역을 통해 고찰하였다. 또한 그 각 요인들을 한국 상황
에 적용하여 이를 근거로 향후 진행될 관광의 변화상을 논의했다. 한국사회에서
거시적 체계 영역에서의 탈국가화 경향은 정부 정책의 방향을 국가발전 중심에서
시민들의 삶의 질 중심으로 변화시켰으며, 미시적 영역의 개인화 경향은 사람들
의 삶의 주요가치를 노동 중심에서 여가 중심으로 바꾸었다. 또한 네트워크화 현
상은 한국사회에서 고착화 되어있었던 위계적 중앙 정부 중심의 관광정책 기제들
을 지역사회와의 연결망을 중심으로 하는 수평적 연계구조로 재편시켰으며, 그
간 지속되어 온 가시적 물질재화 중심의 소비생활에서 벗어난 문화소비의 탈물질
화 경향은 기존 대중관광의 주요 관광형태를 대안관광의 형태로 전환시켰다. 이
처럼 현대 관광은 서로 다른 사회하위부문의 끊임없는 결합체적 관계 및 피드백
과정에 의해 구성된 사회적 산물이다.
영어 초록
The study explored complicate sociocultural factors that contributed to the growth of
tourism in modern society by four sectors of system, act, relationship, and culture, and
the changing of tourism. through application of each factor to tourism industry in Korea.
Denationalization in Korean society changed the direction of national policies from
national development to the quality of life of the people of Korea in a macroscopic
perspective, while individualization changed the value of life from labor to leisure in a
microscopic perspective. Networking changed the hierarchic and centralized tourism policy
mechanism from into vertical connection based on networking of local communities.
Finally, dematerialization in culture consumption through tourism away from consuming
manufactures enabled existing mass tourism to be alternative tourism. Therefore, modern
tourism is the social product composed of constant figurational relationship and feedback
of different subsections of society.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