격조사 「 ey 」 의 타동사문에서의 의미영역고찰
- 최초 등록일
- 2003.07.10
- 최종 저작일
- 2001.01
- 20페이지/
어도비 PDF
- 가격 5,500원

판매자한국학술정보(주)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ㆍ발행기관 : 한국일본어교육학회
ㆍ수록지정보 : 일본어교육 / 18권 / 47 ~ 66 페이지
ㆍ저자명 : 박봉상
한국어 초록
일본어 격조사 「に」와 의미적으로 호응하는 한국어 격조사는 다양하다. 그 중에서 격조사 $quot;에$quot;와 결합하는 타동사문 $quot;NP-ka NP-lul(ul) NP-ey V$quot;를 중심으로 검토했다. 격조사$quot;에$quot;는 일본어 격조사 「に」 보다는 다의성(多義性)은 적으나, 유의 수준의 다의성은 있다고 가정하고, 인지의미론적 분석을 통하여, 격조사$quot;에$quot;는 어떠한 분포로 일본어의 의미영역을 분할하는가를 연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했다. 타동사문에서 격조사 $quot;에$quot;의 다의성을 설명하기 위하여, TR2를 추가하여 Image Schema를 설정했다. 격조사$quot;에$quot;는 일본어 격조사 「に」 보다 Categories는 좁지만, 하위Categories를 형성하는 것을 확인했다. 격조사$quot;에$quot;는 중심적인 Image Schema를 기본으로 하여, 경로의 표시와 활성화, Metaphor, 추상적Domain의 개념화에 의한 다양한 Image Schema로 변형하는 것을 확인했다. 특히 LM의 지배력에 의해 TR1이 더욱 활성화되어 TR2에 영향을 주고있음을 확인했다.
참고 자료
없음
"일본어교육"의 다른 논문
더보기 (5/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