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어 한국어에서의 수량표현의 구조연구 (1) - 수량명사구의 구조를 중심으로 - ( 日本語 韓國語における數量表現の構照硏究 (1) - 數量名詞句の構照を中心に - )
- 최초 등록일
- 2003.07.10
- 최종 저작일
- 2003.07
- 35페이지/
어도비 PDF
- 가격 7,000원

판매자한국학술정보(주)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ㆍ발행기관 : 한국일본어교육학회
ㆍ수록지정보 : 일본어교육 / 15권
ㆍ저자명 : 조완제
한국어 초록
한국어, 일본어에 있어서의 數量名詞句는 그 형태면에서 상당한 유사점을 보여 주고 있다. 이러한 數量名詞句를 다루는 데 있어, 특히 本稿에서는 그 구성요소의 하나인 分類詞(classifier)의 성격을 분석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그 결과, 한국어, 일본어 모두 生産性이 없는 관용표현과 일반적 의미로서의 助數詞로 크게 구분할 수 있었다. 또한, 이에 따른 助數詞의 하위개념으로서 1. 數詞를 동반하여 본래의 助數詞로서의 기능만을 갖는 「本助數詞」 2. 一般名詞로서의 전환이 가능한 名詞, 즉 名詞의 형태를 띠면서 助數詞의 성질을 갖는 「準助數詞(quasi-classfier)」 이 두가지의 개념을 도입, 一般名詞와의 구분을 시도해 보았다. 또한, 數量名詞句를 Num-N型, Q-N型, Q-ノ(의)-N型, N-Num型, N-Q型의 다섯 가지 형태로 분류, 분석한 결과 예상 외의 상이점과 유사점이 나타났다. 그 과정에서 일본어의 「つ」를 「代助數詞 (pro-ciassifier)」로 설정한 후, 한국어에서의 固有數사가 수량사를 대치하는 점을 감안하여 「代數量詞(pro-quantifier)」로 분류하는 시도도 첨가 해 보았다. 동시에 本稿의 상당 부분을 準助數詞의 범위와 그 기능의 규명에 할애하였다. 당연한 절차로, 數量名詞句에 있어서의 여러가지 논의를 위해 그 類型的 고찰은 물론 數量詞遊離(Quantifier Floating)에 관한 연구는 필수불가결의 과제로 인식된다. 이후, 韓日 兩言語의 數量表現, 특히 統語論을 중심으로 한 對照硏究를 보다 폭넓게 진행시켜 보려 한다.
참고 자료
없음
"일본어교육"의 다른 논문
더보기 (5/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