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운 최치원의 풍류사상과 그 서예미학적 체현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ㆍ발행기관 :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ㆍ수록지정보 : 유학연구 / 37권
ㆍ저자명 : 전상모 ( Jun Sang-mo )
ㆍ저자명 : 전상모 ( Jun Sang-mo )
한국어 초록
본고는 최치원의 「난랑비서(鸞郞碑序)」에 내재된 고운 풍류사상(風流思想)의 주체성과 고유성을 검토하고, 고운의 풍류 사상이 그의 서예미학에 어떻게 발현되어 있는지에 대해 살펴본 것이다. 그는 `신라에 풍류라는 현묘지도(玄妙之道)가 있는데, 그 핵심은 삼교(三敎)를 아우르는 접화군생(接化群生)에 있다`고 하였다. 그리고 `교(敎)를 설(設)한 근원은 『선사(仙史)』에 자세히 실려 있다`고 하여, 풍류가 어떤 사상적 체계를 갖춘 실체임을 밝혔다. 그는 풍류를 `포함삼교(包含三敎)`라고 하여 유·불·도 삼교를 풍류의 하위 개념으로 보고 있다. 이는 신라 고유의 풍류사상에 대한 자긍심의 발로이자, 유·불·도를 회통한 고운이 신라의 중심사상이 바로 풍류이자 자신의 지향점 역시 풍류임을 선언한 것이라 하겠다. 고운은 삼교 가운데 유가(儒家)와 선가(仙家)는 동방이고, 불교가 전래함으로써 3대 교문(敎門)이 정해졌다고 한다. 그는 “도불원인 인무이국(道不遠人 人無異國)”이라고 하여 `인간의 주체성`을 바탕으로 삼교가 서로 회통할 수 있고, 삼교가 하나로 만날 수 있다고 한다. 이는 신라인의 `주체적 자각`이었다. 이는 고운이 우리의 고유사상을 탐구하고 이를 계승시키는데 노력을 집중한 결과 우리나라에 상호 이질적인 사상들을 하나로 융합시킬 수 있는 기반으로서의 풍류가 있음을 선언한 것이다. 그가 짓고 쓴 「진감화상비명(眞鑑和尙碑銘)」에서 우리의 전통 방언을 쓰는 등 `주체의식`과 `민중의식`을 드러내었다. 이런 정신이 바로 `접화군생`의 구현의지라 하겠다. 그리고 서예 역시 `현묘지도`의 신비성을 체현해낸 것이었다. <진감화상비(眞鑑和尙碑)> 전액 `易+?海東眞鑑禪師碑`의 서풍은 민족 고유의 `선(仙)`적인 신비성을 체현해 낸 것이며, 명문의 서예역시 `자성일가(自成一家)`한 것이었다. 왕명에 의해 「대숭복사비문(大崇福寺碑文)」을 짓고 쓰면서, 옛 명서가들의 고사를 들어 자신의 서예에 대한 자긍심을 표출하였으며 조조의 8자 고사를 들어 절묘하게 잘 지은 문장이라는 평가를 듣기를 기대하였다. 그는 당에서 귀국하여 기울어져 가는 신라의 현실을 목도하고 `접화군생`의 이상세계를 재현하려고 하였으나 실현되지 않자, 지방관을 전전하다 은거에 들어갔다. 전국을 소요하다 남긴 서각(書刻)을 비롯한 관련 유적들은 `접화군생`의 이상실현을 위한 구체적인 실현방안으로 `유오산수(遊娛山水)`, `무원부지(無遠不至)`를 실천하는 과정 중에 이루어진 것이다. 따라서 `풍류`의 사전적 의미와 고운의 풍류사상과는 많은 차이가 있다고 하겠다.영어 초록
This study reviewed the subjectivity and the originality of Goun`s thought of Pungnyu embedded in Nannangbiseo(鸞郞碑序) and investigated how his thought of Pungnyu was expressed in his calligraphic aesthetics. He said `Silla has the profound Way called Pungnyu, and the key is based on enchanted enlivening of all beings embracing the three doctrines: 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m.` He also said `『Seonsa(仙史)』 contained the basis that a doctrine was established.` and determined Pungnyu was a substance that had an ideological system. He considered that Pungnyu embraced the three doctrines and regarded the three doctrines as the lower concept of Pungnyu. That was the expression of his self-esteem about Silla`s own thought of Pungnyu and the declaration of Goun, who was well-versed in the three doctrines, that Pungnyu was the main thought of Silla and his intention point. Goun assured that there were Confucianism and Taoism in the East and the three doctrines were settled by introducing Buddhism. He said `The Way is not far from people, and people are not different according to their nationalities.` and believed that the three doctrines could understand each other and unify as one based on human subjectivity. It was Silla people`s subjective self-consciousness. Striving to investigate and succeed our own thought, Goun assured that there was Pungnyu as the foundation to unify different thoughts in Korea. He indicated a subjective consciousness and a public consciousness by using our traditional dialects in Jingamhwasangbimyeong(眞鑑和尙碑銘) that he composed and wrote. It was the will to realize `enchanted enlivening of all beings`. He also realized the mystique of the profound Way in calligraphy. The calligraphic style of `易+?海東眞鑑禪師碑` at the head of < Jingamhwasangbi(眞鑑和尙碑) > realized the national Taoistic mystique, and the calligraphy of the inscription also established a school of his own. Composing and writing Daesungboksabimun(大崇福寺碑文) by order of the king, he expressed his self-esteem about his calligraphy by quoting famous calligraphers` historical events and expected to receive high praise that his sentence was exquisitely written by quoting Caocao`s historical events in eight characters. Facing up to the reality that Silla had been falling, after coming back to Silla, he intended to reappear the ideal world of `enchanted enlivening of all beings`. However, it turned into fail, so he retired to hermitage after working as a local governor here and there. The remains including his calligraphy and carved characters that he created during wandering all over the country were his concrete realization plans to realize the ideal of `enchanted enlivening of all beings`, and they were created in the process of practicing `wandering the landscape`, `there is no place where people cannot go even though it is too far`. Therefore, there is a big difference between the dictionary definition of Pungnyu and Goun`s thought of Pungnyu.참고 자료
없음태그
"유학연구"의 다른 논문
송대 불교식 사자의례(死者儀禮)에 대한 고찰28페이지
영남지역 사례를 통해 본 서원 활용 방안 제언28페이지
동춘당 · 남간정사의 유교문화콘텐츠 활성화 전략 연구33페이지
대전지역 서원 유교문화콘텐츠의 현황과 전망 - 숭현서원(崇賢書院), 도산서원(道山書院)을 중심으로 ..47페이지
대전지역 향교ㆍ서원 배향 명현의 선비정신과 유교문화콘텐츠20페이지
장군매(張君?)가 바라본 중국 유가철학의 현실과 대응방안25페이지
육상산(陸象山)의 천인관계론 연구21페이지
『역위(易緯)』「통괘험(通卦驗)」의 성립시기와 괘기설(卦氣說)32페이지
공맹(孔孟)이 제안하는 행복의 길 - 행복관의 분석과 그 현대적 적용을 중심으로 -34페이지
민족주의적 한국유학사 서술의 재조명 - 현상윤의 『조선유학사』를 중심으로 -32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