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야트리 스피박의 서발턴 개념으로 버지니아 울프의 『댈러웨이 부인』 다시 읽기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ㆍ발행기관 :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ㆍ수록지정보 : 인문논총 / 73권 / 4호
ㆍ저자명 : 최상이 ( Choi Sangyi )
ㆍ저자명 : 최상이 ( Choi Sangyi )
한국어 초록
이 논문은 가야트리 차크라보티 스피박의 『탈식민이성비판: 사라져가는 현재의 역사로』의 핵심인 토착정보원의 폐제(foreclosure)와 서발턴(subaltern) 개념을 살펴보고, 이 개념으로 모더니즘 소설 『댈러웨이부인』을 다시 읽어보려는 목적을 가진다. 스피박은 계몽 철학을 인류학적 관점으로 새롭게 읽어 이성의 승리 뒤에 존재하는 폐제되어야 하는 토착정보원에 주목하고, 『제인 에어』를 여성 개인주의의 성취로 읽는 1세계의 부르주아 페미니스트 비평에서도 같은 패턴을 읽어낸다. 스피박은 제인이 가부장적 법적 질서 안으로 들어가기 위해서 버사 메이슨과 같이 폐제되어야 하는 서발턴 여성이 존재함을 밝혀내고, 이 두인물의 관계를 제대로 읽어내지 못한 그동안의 페미니즘 담론이 제국주의의 공리에 공모하고 있음을 지적한다. 이 서발턴 개념으로 20세기모더니즘 소설 『댈러웨이 부인』을 읽을 때 기존의 더블 논의는 문제적일 수 있다. 1세계 작가인 버지니아 울프가 쓴 『댈러웨이 부인』에는 3세계의 토착민이 거의 등장하지 않지만, 그럼에도 울프 작품과 제국주제는 뗄 수 없는 깊은 연관성을 가진다. 울프가 스스로 밝히듯, 주인공 클라리사 댈러웨이의 더블로 등장하는 셉티머스 스미스는, 전쟁의 충격으로 인해 이성이 제대로 작동하지 못할 때 권위자들에 의해 주체를 상실하고 작품에서 폐제될 수밖에 없다. 기존의 더블 비평에 서발턴개념을 추가하면 이 더블의 관계는 제국주의에서 행해지는 인식론적폭력을 증명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따라서 이 글은 클라리사가 죽음을 해결하는 방식이 인식 불가능한 이성의 한계를 극복함으로 이성의 탁월함을 증명하는 칸트의 숭고의 역학과 유사함을 밝히고, 셉티머스는 클라리사 뿐만 아니라 영국 지배계층을 위한 토착정보원의 역할을 하며, 스피박이 지적하는 토착정보원과 같이 폐제되는 서발턴으로 읽을 수 있음을 논의해보려 한다.영어 초록
This study examines foreclosure of a Native Informant and a subaltern as discussed in Gayatri Chakravorty Spivak`s A Critique of Postcolonial Reason: Toward a History of the Vanishing Present and rereads Mrs. Dalloway through her reading of Jane Eyre and its criticisms. Spivak notices the Native Informant who should be foreclosed in the process of Sublime in Kant`s Critique of Judgment. Also she points out the same pattern in the bourgeois feminist critiques that celebrate Jane`s achievement as an individual female. According to Spivak, Jane is accepted into the patriarchical family law through Bertha Mason who is a foreclosed subaltern female by madness. She accuses the feminist critiques for being complicit in imperial axiomatism, not discussing the relation between Jane and Bertha. While there is no third-world character in Mrs. Dalloway written by a first-world female author, Virginia Woolf is deeply related to imperialism. I attempt to apply the Sublime in reading Mrs. Dalloway, especially focusing on the double discussion between Clarissa Dalloway and Septimus Smith. I claim that Clarissa contemplates Septimus`s suicide through the dynamic of Sublime and that Septimus, a shell-shocked veteran, is not simply a Clarissa`s double, but rather a foreclosed subaltern. Therefore, this study reveals the comparability between the double discussions in Mrs. Dalloway and Spivak`s subaltern argument.참고 자료
없음태그
"인문논총"의 다른 논문
구양경무(歐陽竟無)의 유불회통(儒佛會通) 사상(思想)에 관한 고찰(考察)32페이지
『대승사론현의기』에 나타난 혜균의 실담장(悉曇章)36페이지
J. G. 헤르더의 감각주의적 인간학과 미학에 관한 연구 ― 바움가르텐과 레싱의 미학 이론과의 연관..38페이지
아마르나 시대 예술에 투영된 시간관 ― “베를린 석비”에 묘사된 왕실 가족의 정경을 중심으로69페이지
이공계 글쓰기 교육에서 쓰기 능력의 평가와 수준별 교육의 효과 ― 카이스트의 사례를 중심으로40페이지
1930년대 『동아일보』 신인문단 연구 ― `신인문학콩쿨`을 중심으로33페이지
가야트리 스피박의 서발턴 윤리학 - 마하스웨타 데비의 「익룡, 퓨란 사하이, 그리고 퍼사」를 중심으..49페이지
불평등을 넘어서려는 영국 민중의 서사시 [서평] 셀리나 토드, 서영표 옮김(2016), 『민중 : ..12페이지
아카드어 문학 작품에 나타난 종교적 죄30페이지
김경탁의 중국어 한글 표기 체계에 대한 고찰41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