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PD 간호과정
- 최초 등록일
- 2016.11.27
- 최종 저작일
- 2016.05
- 15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4,500원

목차
1. 자료수집
2. 진단검사
3. 약물
4. 간호과정
본문내용
주관적자료
1.“목이 걸걸하고 숨쉴 때 소리가 나요.”
2.“가래를 뱉었는데도 자꾸 목에 뭔가 걸려있는 느낌이나요.”
3.“숨 쉴 때 가래 끓는 소리가 들려요.”
객관적 자료
1. grunting(+)
2.폐음 청진 시
wheezing, rale 이 들림.
3.suction 시 다량의 suptum 이 관찰됨.
4. Suptum 양상 : thick, dirty
5.스스로 가래를 뱉은 후에도 잔여감이 있어 불편해 하는 모습을 관찰함.
6.간호사에게 suction을 자주 해달라고 호소함.
7.
의사처방
- suction 자주 시행해주세요.
- Atrovent + Ventolin Nebulizer 해주세요.
- Vibration 하면서 Percussion 자주 시행해주세요.
간호진단
1.과도한 기도 내 분비물과 관련된 비효율적 기도 개방 유지 불능
간호목표
단기목표
1. 대상자는 2일 이내에 객담으로 인한 불편감이 사라졌다고 말할 것이다.
2. 대상자는 3일 이내에 객담의 양이 줄어들 것이다.
3. 대상자는 3일 이내에 객담이 묽어질 것이다.
장기목표
1. 대상자는 퇴원 시까지 객담으로 인한 불편감 호소가 없고, grunting없이 정상호흡음을 유지할 것이다.
간호계획
1.
대상자의 v/s을 측정한다.
2-1.
대상자의 기도 개방성을 위해서 suction을 한다.
2-2.
suction 시행 시 대상자의 객담의 양상과 양을 측정한다.
간호수행
1.
대상자의 v/s을 1시간 간격으로 측정했다.
2-1.
분비물의 양이 과다할 때 대상자의 기도 개방성을 위해 suction을 했다.
2-2.
매 suction 시행 시 대상자의 객담의 양상과 양을 측정하여 간호기록지에 기록했다.
이론적 근거
1.
v/s은 대상자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는 가장 기본적인 지표이다.
2-1.
suction은 기도 유지, 탄산가스 교환 증진, 기침 촉진, 무기폐를 예방하는 것에 효과적이다.
2-2.
대상자의 객담의 양상과 양을 파악하여 그에 알맞은 간호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평가
1.
대상자의 v/s을 1시간 간격으로 측정한 결과 모두 정상범위를 유지했다.
2.
suction을 시행한 결과, 객담의 양상은 thick, dirty였으며 객담의 양도 많아서 주기적으로 시행했다.
suction을 주기적으로 시행해준 결과 객담의 양이 조금씩 줄어드는 것을 관찰했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