궤양성 대장염 문헌고찰 및 대장내시경 적응증
- 최초 등록일
- 2016.10.25
- 최종 저작일
- 2016.10
- 7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3,000원

목차
1. 궤양성 대장염(ulcerativecolitis)
2. 대장내시경(Colonocsopy)
본문내용
궤양성 대장염이란 염증성 장질환의 일종으로 대장의 점막 또는 점막하층에 염증 또는 궤양이 생기는 질환입니다. 항문에 인접한 직장에서 시작되는 연결된 병변이 특징입니다. 대부분의 궤양성 대장염은 만성 재발성 경과를 보이는데 증상이 나타난 후 수 주일이 지나면 증상이 사라졌다가 수개월에서 수년 사이에 다시 증상이 나타나고 재발할 수록 상태가 악화됩니다. 심한 급성 전격성 대장염은 매우 증상이 심하여 치료에 반응이 없어 수일일 내에 대장 전체를 적출하는 수술이 필요할 수도 있습니다.
<중 략>
대장의 염증을 감소시키고 병이 다시 악화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해 항염증제를 투여합니다. 직장에 국한된 궤양성대장염인 경우는 항문으로 투여하기도 합니다. 항염증제에 효과가 없거나 증상이 심한 경우에는 부신피질 호르몬제를 사용합니다. 강력한 항염증 작용을 하여 급성기에는 효과적이지만 재발을 막을 수 없고 부작용이 많이 생깁니다. 면역 억제제는 면역기능과 염증 반응을 나타내는 세포들의 기능을 억제시키기 위해 사용하며 항생제는 세균감염이 있을 때 사용합니다. 면역억제제, 부신피질호르몬제제가 효과가 없는 경우 생물학적 제제를 투여합니다. 종양괴사인자 알파의 길항체를 투여하여 점막의 염증치유를 유도합니다.약물치료가 효과적이지 않거나 합병증이 발생하면 수술적 치료를 시행합니다. 궤양이 발생한 부위를 절제하고 소장과 연결하는 수술을 시행합니다.
<중 략>
사용하는 기구에 따라 적절한 자세를 취한다. 검사할 탁자나 침대의 가장자리 밖에 엉덩이를 대고 좌측위로 하거나 원하는 자세로 대상자를 비스듬히 기울일 수 있도록 탁자 위에 슬흉위를 취해준다. 항문 주위를 시진하고, 장갑을 끼고 손가락에 윤활제를 묻혀 직장 검사를 실시한다.손가락을 직장에서 빼낼 때 장갑에 묻은 대변을 검사물로 채취할 수 있다. 윤활제를 묻힌 항문경을 삽입하고 항문관을 시진한다(항문경 검사) 항문경을 빼내고 나서 윤활제를 묻힌 직장경이나 유연한 결장경을 삽입한다. 좀 더 잘보이도록 대장에 공기를 집어넣으면서 내시경을 삽입하는데, 이때 장내 가스가 배출 될 것이라고 알려준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