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한미군공사 수행을 위한 FED(Far East District) 프로세스 분석에 관한 연구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ㆍ발행기관 : 한국건축시공학회
ㆍ수록지정보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JKIBC) / 10권 / 1호
ㆍ저자명 : 황재홍 ( Jae Hong Hwang ) , 함남혁 ( Nam Hyuk Ham ) , 김제혁 ( Je Hyuck Kim ) , 김재준 ( Jae Jun Kim )
ㆍ저자명 : 황재홍 ( Jae Hong Hwang ) , 함남혁 ( Nam Hyuk Ham ) , 김제혁 ( Je Hyuck Kim ) , 김재준 ( Jae Jun Kim )
한국어 초록
최근 많은 FED프로젝트가 많이 진행되고 있습니다. 주한 미군기지 이전 계획이 발표됨에 따라 이에 참여할 건설업계는 발주기관 및 공구 수, 공구별 공사비, 입찰참가자격, 시공사 선정방법 등 구체적인 입찰사항에 대한 궁금증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사업 진행이 미군기지 이전시설 종합계획(MP) 수립 및 평택 주민 이주협의, 사업관리업체(PMC: Program Management Consortium) 선정 등 사업 초기부터 체계적으로 진행되지 않고 있어 계속 지연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는 물리적으로 군 시설이라는 특성에 시설공사에 까다로운 기준을 가진 주한미군이 공사를 공동으로 수행함에 따라 의사결정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데다 주한 미군 공사를 수행하기 위한 지침 및 경험 부족으로 인하여 사업을 체계적으로 진행시키기 못하고 있다. 이에 따라 PMO(미군기지 이전사업 합동추진단:Program Management Office)는 건설사업관리용역업체(PMC:Program Management Consortium)로 CH2M HILL - 건원 컨소시엄을 선정하여 주한 미군기지 이전 사업을 종합적으로 관리하도록하고 있다. 하지만 주한 미군 공사의 경우 FED(Far East District)와 국방부 조달본부에서 공동으로 관리하도록 되어 있어 효율적인 사업관리가 곤란한 실정이다. 또한 한미의 사업진행 문화의 이질성 및 세부실행지침 미비로 갈등이 발생하고 있으며, 이를 관리할국내 전문가도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 행해졌던 FED 공사 사례를 바탕으로 하여 입찰부터 준공까지 각단계별 정보의 흐름 및 수행 주체, 또한 각종 제한사항 및 규제 등을 분석하여 향후 미군 공사 수행에 있어서 기초 자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영어 초록
A significant number of projects have been managed by US Army Corps of Engineers FED. Today, more information must be provided to the parties involved in the projects by phase than ever before. Specifically, USFKs construction projects have been managed by FED(Far East District). Recently, however, large US private construction companies have been filling the role previously taken by FED. However, there is few construction managers to implement FED project in Korea. Accordingly, this study analyzes FED projects practices with focus on the construction management actors in order to suggest guideline. This study suggests a model FED construction process(Bid, Contract, Construction, As-Built Phase) by analyzing the existing FED project process using a IDEF0 methodology.참고 자료
없음"한국건축시공학회지 (JKIBC)"의 다른 논문
아파트 소규모 인테리어공사의 공종별 분류와 보할의 분석7페이지
액티비티 기반의 EVM-PMIS 통합모델 구축14페이지
공동주택 경량칸막이 벽체구성재 분류별 사용자 평가 및 특성 분석11페이지
효율성 저해요인 분석을 통한 건축설계분야의 해외건설 계약단계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8페이지
순환골재 콘크리트의 염화물 확산성에 관한 연구7페이지
화강석 건조물의 표면 거칠기별 초음파속도법에 의한 강도 추정9페이지
DMAIC방법론을 활용한 건설기술정보시스템 활용도 제고방안에 관한 연구9페이지
소규모 건축공사의 적정 실적공사비 단가보정 모델 개발9페이지
신축이음장치의 앵커 인발성능 평가 및 나사 풀림 방지를 위한 앵커시스템 개발8페이지
BIM기반 건설현장 관리모델 개발에 관한 연구9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