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환골재 콘크리트의 염화물 확산성에 관한 연구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ㆍ발행기관 : 한국건축시공학회
ㆍ수록지정보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JKIBC) / 10권 / 1호
ㆍ저자명 : 배종민 ( Jong Min Bae ) , 김영수 ( Young Su Kim )
ㆍ저자명 : 배종민 ( Jong Min Bae ) , 김영수 ( Young Su Kim )
한국어 초록
폐콘크리트를 굵은 골재의 대체 재료로 재활용하게 되면, 건설폐기물의 증가위기와 천연골재의 고갈문제를 해결해 줄 수 있다. 그러나 순환골재는 콘크리트용 골재의 품질보다 저하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이를 개선하여 콘크리트 재료로 활용해야 한다. 순환골재 콘크리트의 내구성에 관한 논문은 부족한 실정이므로, 본 연구에서는 염화물 확산계수에 의해 포졸란재를 혼입한순환골재 콘크리트의 염화물 확산성에 대한 기초적인 자료를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주요 결과로는 다음과 같다. 1) 재령에 따라 포졸란재를 혼입한 순환골재 콘크리트의 압축강도가 증가하였으며, 염화물 확산성은 감소하였다. 2) 모든 재령에서, 순환굵은골재의 치환율이 30%인 경우 고로슬래그 및 메타카올린을 혼입한 순환골재 콘크리트의 염화물 확산계수는 플레인 콘크리트와 유사하거나 더 낮은 결과를 나타내었다.영어 초록
The recycling of demolished concrete as an alternative source of coarse aggregates for the production of new concrete can help to solve the growing waste disposal crisis and the problem of the depletion of natural aggregat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hloride migration of recycled aggregate concrete containing pozzolanic materials by the chloride migration coefficient. The specimens were made with recycled coarse aggregate at various replacement ratios (10, 30, 50%) and metakaolin, blast furnace slag, and fly ash is replaced for recycled concrete with a mixing ratio of 20%. The major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compressive strength of recycled aggregate concrete containing pozzolanic materials increases as the curing age and chloride diffusivity decreases. 2) When the replacement ratio of recycled coarse aggregate is 30%, the chloride migration coefficient of recycled concrete containing blast furnace slag or metakaolin that shows a value similar to or lower than that of plain concrete at all ages.참고 자료
없음태그
"한국건축시공학회지 (JKIBC)"의 다른 논문
아파트 소규모 인테리어공사의 공종별 분류와 보할의 분석7페이지
액티비티 기반의 EVM-PMIS 통합모델 구축14페이지
공동주택 경량칸막이 벽체구성재 분류별 사용자 평가 및 특성 분석11페이지
주한미군공사 수행을 위한 FED(Far East District) 프로세스 분석에 관한 연구11페이지
효율성 저해요인 분석을 통한 건축설계분야의 해외건설 계약단계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8페이지
화강석 건조물의 표면 거칠기별 초음파속도법에 의한 강도 추정9페이지
DMAIC방법론을 활용한 건설기술정보시스템 활용도 제고방안에 관한 연구9페이지
소규모 건축공사의 적정 실적공사비 단가보정 모델 개발9페이지
신축이음장치의 앵커 인발성능 평가 및 나사 풀림 방지를 위한 앵커시스템 개발8페이지
BIM기반 건설현장 관리모델 개발에 관한 연구9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