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규모 건축공사의 적정 실적공사비 단가보정 모델 개발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ㆍ발행기관 : 한국건축시공학회
ㆍ수록지정보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JKIBC) / 10권 / 1호
ㆍ저자명 : 김강식 ( Kang Shik Kim ) , 현창택 ( Chang Taek Hyun ) , 홍태훈 ( Tae Hoon Hong ) , 조성민 ( Seong Min Jo ) , 문현석 ( Hyun Seok Mun )
ㆍ저자명 : 김강식 ( Kang Shik Kim ) , 현창택 ( Chang Taek Hyun ) , 홍태훈 ( Tae Hoon Hong ) , 조성민 ( Seong Min Jo ) , 문현석 ( Hyun Seok Mun )
한국어 초록
정부는 2004년부터 원가산정체계를 실적공사비 중심으로 전환하였다. 이러한 실적공사비는 계약단가를 기준으로 산정되며,현재 10억원 이상의 공공 건설공사에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대형공사 위주의 평균단가로 구성되어 있는 실적공사비를 10억원미만의 소규모 건축공사에 직접적으로 반영하게 됨으로써 소규모 건축공사의 실행금액이 계약금액 이상으로 증가되는 경우가빈번히 발생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이에 따른 영업이익의 감소로 기업운영 및 생산성 등에 악영향을 미치는 등과 같은 여러문제들이 야기되고 있다. 따라서 10억원 미만의 소규모 건축공사에 실적공사비를 적용하기 위해서는 사업의 규모 등을 반영할수 있는 단가보정 방안이 있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실적공사비를 10억원 미만의 소규모 건축공사에 적용하는데 발생할수 있는 단가적용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실적단가를 보정할 수 있는 실적공사비 단가보정 모델을 개발하였다. 이 모델은소규모 건축공사의 생산성과 적정한 이윤을 책정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으며, 소규모 건설업체의 경영이 악화되는 것을 방지할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그리고 발주처는 예산편성 시 현실성 있는 공사비를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영어 초록
Since 2004, the government has changedthe cost estimate system to one of an actual cost basis in order to calculate the optimum construction cost by reflecting changes in circumstance on the construction site in a timely manner. Currently, this is being applied to public construction work forover a billion won of actual cost data in estimation by contract unit cost. However, directly reflecting actual cost, which for large-sized construction work was originally an average unit cost, to a small building, entails the application of a low discount rate for the cost of materials, labor, etc. and therefore can frequently give rise to cases in which the actual cost of work performed exceeds the contract sum, which in turn causes problems such as decreased revenues, bad effectson business operation, productivity, etc. Therefore, to apply actual cost to small-sized construction work (less than a billion won), there should be a plan to modify unit cost in a manner that can reflect project scale, etc. in order to resolve the problem of unit cost application of actual cost to small-building construction projects. The unit cost modification model for proper actual construction cost in small-scale construction projects developed by this study will help to increase the relevant productivity and proper gain, preventing the aggravation of business operations. Organizations placing orders are also expected to be able to secure a more realistic construction cost in arranging the budget.참고 자료
없음태그
"한국건축시공학회지 (JKIBC)"의 다른 논문
아파트 소규모 인테리어공사의 공종별 분류와 보할의 분석7페이지
액티비티 기반의 EVM-PMIS 통합모델 구축14페이지
공동주택 경량칸막이 벽체구성재 분류별 사용자 평가 및 특성 분석11페이지
주한미군공사 수행을 위한 FED(Far East District) 프로세스 분석에 관한 연구11페이지
효율성 저해요인 분석을 통한 건축설계분야의 해외건설 계약단계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8페이지
순환골재 콘크리트의 염화물 확산성에 관한 연구7페이지
화강석 건조물의 표면 거칠기별 초음파속도법에 의한 강도 추정9페이지
DMAIC방법론을 활용한 건설기술정보시스템 활용도 제고방안에 관한 연구9페이지
신축이음장치의 앵커 인발성능 평가 및 나사 풀림 방지를 위한 앵커시스템 개발8페이지
BIM기반 건설현장 관리모델 개발에 관한 연구9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