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품 사용 중 표출되는 사용자의 감성과 제품 만족도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ㆍ발행기관 : 한국감성과학회
ㆍ수록지정보 : 감성과학 / 17권 / 3호
ㆍ저자명 : 정상훈
ㆍ저자명 : 정상훈
목차
1. 서론2. 실험
2.1. 실험 개요
2.2. 실험 진행방법
3. 실험 1: 한국
4. 실험 2: 미국
4.1. 실험 2 참여자
4.2. 실험 2 결과
5. 논의 및 결론
REFERENCES
한국어 초록
최근 들어 사용자 경험에 대한 관심과 중요성이 많이 부각되면서 이와 관련된 많은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사용자가 제품을 사용하면서 느꼈던 감성과 해당 제품에 대한 만족도 및 향후 제품 구매 시 현재 사용 중인 제품의 제조사와 동일한 회사의 제품을 구매하고 싶은 지 여부와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또한 현재 사용 중인 제품에 대한 만족도와 향후 제품 구매 시 현재 사용 중인 제품의 제조사와 동 일한 회사의 제품을 구매하고 싶은 지 여부와의 관계를 검토해 보았다. 그리고 보다 일반화된 실험결과를 도출하기 위하여 한국과 미국에서 동일한 실험을 진행하였다.연구 결과 제품을 사용하면서 느끼는 6가지 대표감성 중에서 제품의 사용성이나 실용적인 측면에서의 만족스 러운 감성인 ‘사용적 만족성’과 제품 사용 중 느끼는 불편하거나 불쾌한 감성인 ‘불편성’이 해당 제품에 대한 만 족도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용적 만족성’은 향후 제품 구매 시 현재 사용 중인 제품의 제조사와 동일한 회사의 제품을 구매하고 싶은 지 여부에도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제품 디자인 시 제품의 외관, 즉 겉모양에서 느끼는 매력에만 집중할 것이 아니라 제품을 쉽고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하는 사용성, 즉 사용자로 하여금 제품의 기능을 얼마나 잘 사용할 수 있게 하느냐에 대한 문제 또한 신중하게 고려해야 함을 시사해 준다. 또한 제품의 만족도가 재구매 의도에 정(正)의 영향을 미친다는 기존 의 선행연구들과 마찬가지로 본 연구에서도 현재 사용 중인 제품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수록 향후 해당 제품 구 매 시 현재 사용 중인 제품의 제조사와 동일한 회사의 제품을 구매할 가능성이 높다는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영어 초록
Due to recent interest in user experience and its significance, much research surrounding this theme is now being conducted. In this research, I investigated user experience during usage of a product and the satisfaction acquired by it, as well as the relationship between satisfaction of having used a product and whether the user would be more likely to purchase another product from the same company. The same experiment was conducted in South Korea and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in order to get more generalized experimental results.I found that amongst the six representative user emotions expressed while using a product, two of them correlated the most. First, ‘Satisfaction in Usability’ (the emotions aroused by satisfaction with usage or the practicality of the product); and second, ‘Discomfort or Displeasure’ (uncomfortable or unpleasant emotions expressed while using a product. The above two factors were found to be of the most influence concerning satisfaction of the product. Also ‘Satisfaction in Usability’ was found to be of the most influence in their preferability towards purchasing an item from the same company in the future. The significance of this finding is that aside from focussing on the attractiveness of the product’s exteriors and design, one should be concerned on the ease of usage and effectiveness as well as usability of the product, all of which contribute to how efficiently a consumer will utilize the product. Furthermore, in agreement with previous research concerning the correlation between satisfaction of a product and positive perspective on consecutive purchases,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s that the more satisfaction consumers feel after using a product, the more likely they are to purchase additional merchandises from the same company which manufactured the original product.
참고 자료
없음태그
"감성과학"의 다른 논문
헬스케어 재활훈련기 디자인 평가 요소 개발에 관한 연구14페이지
주행 중 운전자의 HUD 인지성과 활용성 평가12페이지
교차 양상과 부정 정서에서의 정서 불일치 효과에 따른 기억의 차이10페이지
뇌파와 심전도 분석을 기반으로 한 온열환경 및 조도가 재실자의 업무에 미치는 영향12페이지
사회적 배척과 소속 욕구가 사회적 사건의 정서 예측에 미치는 영향12페이지
Nylon/아라미드 원사특성이 방호의류용 에어텍스쳐사의 물성에 미치는 영향8페이지
각성 축의 특성을 고려한 감정차원에 관한 연구8페이지
스마트 의류 상품 기획을 위한 감성 효과 분석8페이지
행운과 불운이 추론에 미치는 효과10페이지
LED 면조명을 이용한 감성조명시스템의 인체 생리학적 반응에 관한 연구10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