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교-대학 간 전공계열 교차 진학이 대학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ㆍ발행기관 : 한국교육행정학회
ㆍ수록지정보 : 교육행정학연구 / 34권 / 2호
ㆍ저자명 : 문찬주, 심정연, 이선아, 이지영, 정동욱
ㆍ저자명 : 문찬주, 심정연, 이선아, 이지영, 정동욱
목차
I. 서 론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분석 결과
V. 결론
참고문헌
한국어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고교대학문·이과 계열 간 교차 진학이 대학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을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2007년에서 2013년도까지의 한국교육고용패널
(Korean Education & Employment Panel, KEEP) 중학교 3학년, 고등학교 3학년 코호트 자료
를 활용하였다. 처치변수인 교차 진학자는 고교 재학시 계열과 대학 재학시 문·이과 계열을
다르게 응답한 경우로 한정하였다. 종속변수인 대학 학업성취도(GPA)는 대학 재학기간에 따
른 학업성취도 변화를 살펴보기 위해 대학교 학년별 및 전체 평균학점으로 구분하여 살펴보
았다. 또한 표본선택편의 제거를 통한 엄밀한 효과 추정을 위해 경향점수매칭(Propensity
Score Matching)을 활용하여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차 진학이 대학교 1, 2, 3·4학년 학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고, 전체 평균 학업성취도에 유의수준 .1에서 4.443만큼 정적 효과를 보였다. 둘
째, 교차 진학의 양상을 문과-이과, 이과-문과로 각각 나누어 분석한 민감도 분석에서는 교차
진학이 대학교 1, 2학년 학업성취도에 유의한 영향이 나타나지 않았으나, 3·4학년 학점, 전체
학점의 경우, 이과-문과 교차 진학의 경우 3·4학년 학점, 전체 평균 학점에서 유의수준 .01에
서 각각 13.922점, 8.571만큼 정적 효과를 나타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교차 진학자의 학업 적응 및 지원 방안 수립에 있
어, 대학에서 요구하는 중등교육에서의 학습 내용 및 수준에 대한 구체적인 기준 정립과 교
차 진학자의 간학문적 학습 경험의 장점이 대학 내 융합 전공의 차원까지 확대될 수 있도록
고등교육의 교육과정 개편 제고 노력이 필요함을 제안하는 바이다.
영어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empirical analysis of the effects of highschool-university cross tracking to university academic achievement. This study
utilized 9th and 12th graders cohort data from Korean Education & Employment
Panel (KEEP) 2007-2013. The treatment variable is the students who are in the
different track at the university level from the one at the highschool level. The
dependent variables are the Grade Point Average (GPA) of each year and the
four-year average. Also,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by utilizing propensity
score matching methods for a rigid estimation.
The result of study shows that hight school-university cross tracking does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GPA of each year, but have 4.443 positive effect on overall
GPA at the significance level 0.1. In addition, when the tracking is examined in two
ways-from liberal arts to natural science and from natural science to liberal arts-the
tracking does not have significant effect on the GPA of first and second year.
However, the GPA of third and fourth year and the overall GPA reported 13.922
and 8.571 positive effect each, at the significance level 0.1. This results could be
helpful in developing practical models of highschool curriculum and plans to link
high school and university curriculums.
참고 자료
없음"교육행정학연구"의 다른 논문
부실대학의 개념 및 평가요소 탐색25페이지
중·고등학교의 학업중단 위기학생이 경험하는 소외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33페이지
'학교혁신'에 참여하게 된 교사들의 갈등 경험에 관한 연구32페이지
학교조직문화와 학교조직효과성의 관계에 관한 메타분석26페이지
국립대학회계재정법 제정에 따른 국립대학의 재정 변화와 회계운영의 쟁점과 개선 논의24페이지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평균효과 및 분위효과 분석28페이지
학교문화가 학생들의 학교폭력 대응행동에 미치는 영향 분석22페이지
대학 신입생의 대학생활적응 유형과 학업계획의 차이21페이지
교육행정학 연구에서 전문성의 의미 구조: 줄기세포?30페이지
국가별 학교분리와 학업성취도 관계 분석21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