퇴계의 서원관과 조선후기 소수서원 講學의 변화

(주)학지사
최초 등록일
2016.08.08
최종 저작일
2016.06
38페이지/파일확장자 어도비 PDF
가격 6,7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발행기관 : 영남퇴계학연구원 수록지정보 : 퇴계학논집 / 18권
저자명 : 김자운

목차

1. 서론
2. 주세붕의 서원관 : 帝王學ㆍ治用論의 관점
3. 퇴계의 서원관 : ‘講明道學’을 위한 공부론의 관점
4. 퇴계 講學 이념에 따른 조선후기 소수서원 講學의 변화
5. 敬讀 및 通讀 교재를 통해 본 조선후기 소수서원 講學의 心學的 특징
6. 결론

한국어 초록

이 연구는 퇴계의 서원관이 조선후기 소수서원 강학 실제의 변화에
끼친 영향을 검토하는 데 목적이 있다. 퇴계의 서원관은 백운동서원을
창건한 주세붕의 서원관과는 다소 차이가 있었다. 그 차이는 결국 소수
서원 강학의 실제를 규정하고, 그 결과 조선후기로 가면서 소수서원 강
학의 성격과 방식은 점차 변화를 겪게 된다. 이 글에서는 첫째, 주세붕
과 퇴계의 서원관의 차이를 살펴보고, 그 원인을 주자학에 대한 학문적
해석 방식의 차이에서 찾고자 하였다. 그 결과 주세붕의 서원관은 ‘帝王
學과 治用論의 관점’으로, 퇴계의 서원관은 ‘講明道學을 위한 공부론의
관점’으로 규정하고, 서원관에 따른 강학의 차이를 검토하였다. 둘째, 주
세붕을 지나 퇴계에 이르러 주자의 서원 정신이 계승되는 과정을 살펴보고, 서원 강학 이념을 확립하기 위한 퇴계의 노력과 실천을 검토하였다.
셋째, 18세기에 이르러 퇴계의 강학 이념이 소수서원 강학 실제를 구체
적으로 어떻게 변화시켰으며, 그 교육사적 의미는 무엇인지 고찰하고자
하였다.
주세붕은 1542년 문성공 안향의 사묘를 짓고 이듬해 서원을 지음으로
써, 주자의 이념을 바탕으로 조선 최초의 백운동서원을 창건하고, 서원
에 ‘제향과 강학’이라는 양대 기능을 확립하여, 교육기관에 순수한 교육
활동 지점으로서의 강학공간을 넘어, 일종의 道의 존엄성을 확보하는 제
향공간을 설정하였다. 그러나 그에게 서원은 ‘사묘에 부수적인 공간’으로
서, ‘강학처’보다는 ‘존현처’에 더 무게중심이 있었으며, 그는 당시 쇠퇴
한 관학을 대신하여 과거 공부를 통해 국가의 관리를 길러내기 위한 인
재 양성소처럼 서원을 인식하였다. 즉, 그는 서원을 ‘국가의 元氣’를 길
러내는 교육기관으로 파악하였다. 이는 주자학에 대한 주세붕의 고유한
해석 방식에서 비롯된 결과로 볼 수 있다. 그는 진정한 儒道의 실현은
제왕학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이며, 서원을 통해 양성된 선비들은 그 제
왕학의 실현을 도와주는 인물로 파악하였다. 그 결과, 주세붕에게 서원
은 ‘국가발전을 위한 인재양성소’ 이상의 의미를 지니지 못하였다. 이와
같이 帝王學과 治用論의 관점에서 서원을 이해한 주세붕의 서원관은 17
세기 초반까지 소수서원 교육이 科業을 충실히 수행해내는 관학적 특성
에서 벗어나지 못하게 하는 원인으로 작용하였다. 그러나 이는 남송대
주자가 확립한 서원의 私學 정신과는 다른 것이었다.
주자의 서원 정신이 조선 사회에서 이해되기 시작한 것은 주세붕을 지
나 퇴계에 이르러서였다. 그는 주자가 남송서원을 부흥할 때 했던 것처
럼, 풍기군수로 부임하여 조정에 백운동서원의 사액을 청함으로써 서원
이 국가의 승인과 지원을 획득할 수 있는 제도적 기반을 마련하는 데 성
공하였다. 동시에 科擧와 祿利의 풍습에 물들어 학문을 오직 과거에 합격
하고 녹봉을 취하는 수단으로만 여기는 官學의 폐해를 지적하고, 서원을
설립한 뜻은 오직 ‘道學을 講明’하는 데 있음을 강조하였다. 즉, 제왕학이
나 치용론의 관점보다는 ‘道學의 실현을 위한 공부론’의 관점에서 서원교육의 의미를 규정하고, 서원의 설립 의도와 교육 목표는 관학과는 다른
데 있음을 분명히 하였다. 그는 주자의 서원관을 계승하여 이를 조선사회
에 정착시키기 위해 많은 서원의 기문을 짓고 서원 보급운동에 앞장섰으
나, 科擧의 구속에서 벗어나 참다운 爲己之學을 실천하는 道學 서원으로
의 정착은 쉽게 이루어지지 않았다. 소수서원이 ‘科業之所’에서 ‘道學之
所’로 변모한 것은 18세기 초에 이르러서였다. 강학의 목적이 ‘道學의 탐
구와 실천’에 있음을 정면으로 표방하면서 소수서원 강학의 성격과 방식
이 본격적으로 변화되기 시작하였다. 18세기 이후 소수서원 교육과정의
운영과 교재의 변화 등을 통해 그 구체적인 양상을 확인할 수 있다.

영어 초록

This paper aims to examine Toegye’s educational philosophy in
Seowon and its influence on education in Sosu-Seowon. Toegye
had the different educational philosophy with Jusebung established
Sosu-Seowon. As a necessity, they had insisted separate
educational purposes and methods in Sosu-Seowon.
First, I examined that their different perspectives on Seowon
education and explained that their distinctions were due to their
substantially different understanding on Jujahak(朱子學). Jusebung
considered Seowon as the institution for ‘pragmatic statecraft(治用
論)’. On the other hand, Toegye understood Seowon as the place
of ‘self-cultivation(修養論 or 工夫論)’.
Second, I checked that Toegye’s educational philosophy had the
great influenced on the educational practice in Sosu-Seowon. Since
the 18th century, Sosu-Seowon curriculum had changed from
training on Civil Service Examination to self-cultivation.

참고 자료

없음

자료문의

제휴사는 별도로 자료문의를 받지 않고 있습니다.

판매자 정보

마음과 세상을 연결하는 학문의 전당을 꿈꾸며 학지사는 단순히 책을 출판하는 곳이 아니라 인간의 마음을 아름답고 풍요롭게 하는 종합적인 학문 서비스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주의사항

저작권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찾던 자료가 아닌가요?아래 자료들 중 찾던 자료가 있는지 확인해보세요

최근 본 자료더보기
  • 프레시홍 - 주꾸미
  • 르네셀 화장품
퇴계의 서원관과 조선후기 소수서원 講學의 변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