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학생의 공격성 정도에 따른 나무검사의 반응특성에 대한 연구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ㆍ발행기관 :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ㆍ수록지정보 : 예술심리치료연구 / 12권 / 2호
ㆍ저자명 : 기정희
ㆍ저자명 : 기정희
목차
Ⅰ. 서 론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한국어 초록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생의 공격성 정도에 따른 나무검사의 반응특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대구ㆍ경북 지역 소재 초등학교 4-6학년생 323명(남 165, 여 158명)이다.
연구도구는 공격성 척도와 나무검사이다. 나무검사의 해석지표는 15개 지표(7개의 전체지
표와 8개의 세부지표)로 설정하였다. 자료분석은 교차분석과 판별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
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초등학생의 공격성 정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지표는 6
개 지표, 즉 전체지표 2개와 세부지표 4개이다. 전체지표에서는, 공격성이 낮은 아동이 높
은 아동보다 스트로크가 연속적이고 크기에서 적당하다. 세부지표에서는, 공격성이 낮은
아동이 높은 아동보다 줄기(옹이), 줄기(음영), 가지(잘림)에서는 무의 비율이 높았던 반면,
잎에서는 유의 비율이 높았다. 그리고 이들 유의차가 있는 지표들에 대하여 판별분석을 실
시한 결과, 모든 지표 즉 스트로크, 크기, 줄기(옹이), 줄기(음영), 가지(잘림), 잎이 유의한
변인으로 나타났으며, 이들의 판별력은 89.2%이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하여, 나무검사는
초등학생의 공격성을 사정하는 진단도구로 활용할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영어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ossibility of using theBaum test as an effective means of assessi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aggression levels. The subjects were 323(165 male, 158 female) elementary
school students from grades 4 to 6. Measurements were the aggression scale
and the Baum test. This study adapted 15 interpretation criteria, consisting of
7 total indices and 8 detailed indices. Data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Cohen's kappa value, cross tabulation, and discriminant analysis. The results
indicated that a total of 6 indices, 2 total indices and 4 detailed indices,
showed statistical significance. In the case of total indices, continuative
stroke and appropriate tree size were more prevalent in the drawings by low
aggressive children. In terms of detailed indices, trunk(knots), trunk(shading),
and branches(severed) were more commonly observed in the drawings of low
aggressive children. But leaves was more prevalent in the drawings by high
aggressive children. All other indices proven to show meaningful differences
in the Baum test cross tabulation were performed a discriminant analysis.
The results indicated an 89.2% discriminatory power for the variables, and
the Baum test characteristics of stroke, tree size, trunk knots, trunk(shading),
branches(severed), and leav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variables. In
conclusion, the Baum test can be an effective tool for assessmen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ggress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