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학생의 공격성 정도에 따른 나무검사의 반응특성에 대한 연구

(주)학지사
최초 등록일
2016.08.08
최종 저작일
2016.01
16페이지/파일확장자 어도비 PDF
가격 4,5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발행기관 :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수록지정보 : 예술심리치료연구 / 12권 / 2호
저자명 : 기정희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한국어 초록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생의 공격성 정도에 따른 나무검사의 반응특성을 알아보고자 한
다. 연구대상은 대구ㆍ경북 지역 소재 초등학교 4-6학년생 323명(남 165, 여 158명)이다.
연구도구는 공격성 척도와 나무검사이다. 나무검사의 해석지표는 15개 지표(7개의 전체지
표와 8개의 세부지표)로 설정하였다. 자료분석은 교차분석과 판별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
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초등학생의 공격성 정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지표는 6
개 지표, 즉 전체지표 2개와 세부지표 4개이다. 전체지표에서는, 공격성이 낮은 아동이 높
은 아동보다 스트로크가 연속적이고 크기에서 적당하다. 세부지표에서는, 공격성이 낮은
아동이 높은 아동보다 줄기(옹이), 줄기(음영), 가지(잘림)에서는 무의 비율이 높았던 반면,
잎에서는 유의 비율이 높았다. 그리고 이들 유의차가 있는 지표들에 대하여 판별분석을 실
시한 결과, 모든 지표 즉 스트로크, 크기, 줄기(옹이), 줄기(음영), 가지(잘림), 잎이 유의한
변인으로 나타났으며, 이들의 판별력은 89.2%이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하여, 나무검사는
초등학생의 공격성을 사정하는 진단도구로 활용할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영어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ossibility of using the
Baum test as an effective means of assessi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aggression levels. The subjects were 323(165 male, 158 female) elementary
school students from grades 4 to 6. Measurements were the aggression scale
and the Baum test. This study adapted 15 interpretation criteria, consisting of
7 total indices and 8 detailed indices. Data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Cohen's kappa value, cross tabulation, and discriminant analysis. The results
indicated that a total of 6 indices, 2 total indices and 4 detailed indices,
showed statistical significance. In the case of total indices, continuative
stroke and appropriate tree size were more prevalent in the drawings by low
aggressive children. In terms of detailed indices, trunk(knots), trunk(shading),
and branches(severed) were more commonly observed in the drawings of low
aggressive children. But leaves was more prevalent in the drawings by high
aggressive children. All other indices proven to show meaningful differences
in the Baum test cross tabulation were performed a discriminant analysis.
The results indicated an 89.2% discriminatory power for the variables, and
the Baum test characteristics of stroke, tree size, trunk knots, trunk(shading),
branches(severed), and leav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variables. In
conclusion, the Baum test can be an effective tool for assessmen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ggression.

참고 자료

없음

자료문의

제휴사는 별도로 자료문의를 받지 않고 있습니다.

판매자 정보

마음과 세상을 연결하는 학문의 전당을 꿈꾸며 학지사는 단순히 책을 출판하는 곳이 아니라 인간의 마음을 아름답고 풍요롭게 하는 종합적인 학문 서비스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주의사항

저작권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찾던 자료가 아닌가요?아래 자료들 중 찾던 자료가 있는지 확인해보세요

최근 본 자료더보기
  • 프레시홍 - 주꾸미
  • 르네셀 화장품
초등학생의 공격성 정도에 따른 나무검사의 반응특성에 대한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