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경안천 유역의 홍수저감 대안 선정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ㆍ발행기관 : 한국습지학회
ㆍ수록지정보 : 한국습지학회지 / 18권 / 2호
ㆍ저자명 : 한대건, 최창현, 김덕환, 정재원, 김정욱, 김수전
ㆍ저자명 : 한대건, 최창현, 김덕환, 정재원, 김정욱, 김수전
목차
1. 서 론2. 기후변화 시나리오 및 경제성 분석
3. 적용 및 모의 결과
4. 요약 및 결론
References
한국어 초록
최근 기후변화로 인하여 태풍 및 집중호우로 인한 극한 강우사상의 발생빈도가 증가하고 있으며, 급격한 도시화로 인한유역 내 불투수 면적이 늘어나고 있다. 이로 인해 재산피해가 증가하고 있어 기후변화를 고려한 미래 하천범람 등 홍수피해를
경감시키기 위한 홍수저감 대안 선정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후변화를 고려하여 목표기간별로(기준년도
: 1971∼2010년, 목표기간Ⅰ : 2011∼2040년, 목표기간Ⅱ : 2041∼2070년, 목표기간Ⅲ : 2071∼2100년) HEC-HMS모형
을 이용하여 기후변화에 따른 홍수량을 산정하였다. 또한, 배수펌프와 저류지를 각각 5개씩 홍수저감 대안으로 설정하여
HEC-RAS모형을 통해 대안별 홍수위를 산정하였다. 지형자료 및 홍수위를 이용하여 홍수범람도를 도시하였으며, 다차원
홍수피해액산정법(Multi dimension – Flood Damage Analysis ,MD-FDA)을 이용하여 홍수피해 저감을 위한 대안별
경제성분석을 실시하였다. 홍수저감효과를 분석한 결과 배수펌프를 설치했을 경우 홍수위는 최소0.06m, 최대0.44m 감소하였
고, 저류지는 최소0.01m, 최대1.86m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침수면적은 최소 0.3%, 최대 32.64% 감소하였고,
침수심 역시 낮아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경제성분석을 실시하여 대안별 편익⋅비용비를 비교한 결과 목표기간Ⅰ에서
는 저류지E, 목표기간Ⅱ, 목표기간Ⅲ에서는 배수펌프D가 홍수저감을 위한 타당한 대안으로 판단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치수사업 시 주요사례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영어 초록
Recently, the frequency of extreme rainfall event has increased due to climate change and impermeable area also has increaseddue to rapid urbanization. Therefore, we ought to prepare countermeasures for flood reduction to reduce the damage.
To consider climate change, the frequency based rainfall was calculated according to the aimed period(reference : 1971∼
2010, Target period Ⅰ : 2011∼2040, Target period Ⅱ : 2041∼2070, Target period Ⅲ : 2071∼2100) and the flood discharge
was also calculated by climate change using HEC-HMS model. Also, the flood elevation was calculated by each alternative
through HEC-RAS model, setting 5 sizes of drainage pumps and reservoirs respectively. The flood map was constructed
using topographical data and flood elevation, and the economic analysis was conducted for reduction of flood damage
using Multi dimension – Flood Damage Analysis, MD-FDA.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n the flood control effect, a head
of drainage pump was reduced by 0.06m up to 0.44m while it was reduced by 0.01m up to 1.86m in the case of a detention
pond. The flooded area shrunk by up to 32.64% from 0.3% and inundation depth also dropped. As a result of a comparison
of the Benefit/Cost index estimated by the economic analysis, detention pond E in period Ⅰ and pump D in period Ⅱ
and Ⅲ were deemed appropriate as an alternative for climate change. The results are expected to be used as good practices
when implementing the flood control works considering climate chan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