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abitat Fragmentation by a Levee and Its Impact on Frog Population in the Civilian Control Zone
(주)학지사
- 최초 등록일
- 2016.08.08
- 최종 저작일
- 2016.05
- 8페이지/
어도비 PDF
- 가격 3,000원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ㆍ발행기관 : 한국습지학회
ㆍ수록지정보 : 한국습지학회지 / 18권 / 2호
ㆍ저자명 : Jaehyoung Ju, Jae Hyun Kim, Seung Ho Kim
목차
1. Introduction
2. Methods
3. Results
4. Discussion
References
한국어 초록
본 연구는 민간인통제구역에 건설된 제방으로 인한 생태계 분절이 양서류 서식지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수행
되었다. 이를 위해 제방 한편에 두 논(사이트 1, 2)과 제방 옆을 지나는 수내천(사이트 3), 그리고 제방 다른 편의 관개수
로가 위치한 논(사이트 4)에 대해 7개월간에 걸쳐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 결과, 주로 논과 수변지역에 많이 서식하는
참개구리(295개체), 청구개리(n=220개체), 옴개구리(124개체)가 주로 발견되었고 한국산 개구리(8개체)와 두꺼비(3개
체)도 일부 확인되었다. 이 양서류들은 계절에 따른 물 공급 상황의 변화에 따라 논과 하천 지역에서 양적 변화를 보여
사이트 1,2,3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났으나 제방 반대편의 사이트 4에서는 풍부한 수자원에도 불구하고 양적 변화가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가뭄철 수내천에 물이 말라 이 지역 개구리들이 현저히 감소했을 때에도 물이 풍부하고 거리가 비슷한
제방 건너편의 사이트 4보다는 제방 같은 편의 사이트 1, 2 지역에서 다수의 개구리들의 존재가 확인되었다.
영어 초록
We examined whether an artificial levee constructed on prime amphibian habitat influences fragmentation. Four
different sites on both sides of a levee in the Civilian Control Zone(CCZ) were probed. Sites 1 and 2 are rice paddies
on one side of the levee, and Site 3 is the stream that locates in the same side. All the three sites have water conditions
of seasonal variance. On the other side, Site 4 consists of rice paddies with a stable condition of water supply, irrigated
through a canal. The research sites were frequented and the frog populations were closely monitored. The
investigation identified five species. Pelophylax nigromaculatus was the most frequent (n=295), followed by Hyla
japonica (n=220) and Glandirana rugosa (n=124). Three Bufo gargarizans and eight Rana coreana were also found.
The amphibians, however, were found to relocate themselves according to water condition to rice paddies or stream
only within one side of the levee. Despite having ample sources of water and foods, Site 4 lacked large populations of
frogs, even when droughts came. Both the species dominance index and the richness index indicated a more favorable
living condition of the one side of the levee (Sites 1 and 2) over the other.
참고 자료
없음
"한국습지학회지"의 다른 논문
더보기 (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