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거노인생활관리사의 우울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직무만족도와 생활만족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주)학지사
- 최초 등록일
- 2016.08.08
- 최종 저작일
- 2016.06
- 26페이지/
어도비 PDF
- 가격 5,500원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ㆍ발행기관 : 한국사회복지교육협의회
ㆍ수록지정보 : 한국사회복지교육 / 34권
ㆍ저자명 : 송진영, 박용순, 이찬영, 김경희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한국어 초록
본 연구는 독거노인생활관리사의 우울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직무만족
도와 생활만족도의 다중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
서는 경기도와 인천에 위치한 노인복지관과 노인재가센터에서 활동하고 있는 독거노인
생활관리사 379명을 대상으로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우울은 이직의도에
정적(+)인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무만족도는 우울과 이직의도 간을 매
개하는 것을 검증하였다. 셋째, 생활만족도는 우울과 이직의도 간을 매개하는 것을 확인
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독거노인생활관리사의 우울과 이직의도 간의 관
계에서 직무만족도와 생활만족도의 향상을 통해 그들의 이직의도를 낮출 수 있는 몇 가
지 제언을 하였다.
영어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ultiple mediating effects of job
satisfaction and life satisfac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of solitary elderly
care manager and turnover intention. For this study, this study took sampling of 379
solitary elderly care managers working at seniors welfare center or seniors home visiting
center in Kyunggi-do and Incheon-si, and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Depression of solitary elderly care manager
was positively influenced on turnover intention. (2) Job satisfaction mediated between
depression of solitary elderly care manager and turnover intention. (3) Life satisfaction
mediated between depression of solitary elderly care manager and turnover intention.
Based on the results, some implications were discussed to reduce turnover intention of
solitary elderly care managers through improving job satisfaction or life satisfaction.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