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との」「とのことだ」의 구문과 의미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ㆍ발행기관 : 한국일어교육학회
ㆍ수록지정보 : 일본어교육연구 / 24권
ㆍ저자명 : 오선주 ( Sun Ju Oh )
ㆍ저자명 : 오선주 ( Sun Ju Oh )
한국어 초록
본고는 인용표현「との」와「という」,「とのことだ」와「ということだ」를 비교함으로 인해「との」,「とのことだ」의 구문적 특성과 의미기능을 명확히 하고자 한 것이다. 본고의 조사에 의하면,「との」에 연결되는 연체수식절의 종지형「-だ」는 南(2010)의 연구에서는 생략되어도 의미해석상의 차이는 없다고 논의되어 왔으나, 본고에서의 조사결과, 종지형「-だ」가 들어가면, 전문의 기능을 더욱강하게 하여, 종지형「-だ」를 포함하는 인용구를 강조하는 역할을 한다는 것이 밝혀졌다. 또한「との」,「とのことだ」는 인용 중에서도 전문의 기능만을 담당하고 있기 때문에「という」,「ということだ」보다 사용되는 범위가 좁고, 또한 인용화자가 발화하는 내용이 타인(제3자)로부터 얻은 정보라는 것을 명확히 함으로서 인용화자의 발화에 대한 개입을 최소화하는 의미기능을 가지고 있다. 즉, 제3자의 생각이나 발화를 가능한 한자신과 거리를 두고 원문 그대로 전하려고 한다는 것이다. 위와 같은 고찰로부터「との」를「という」보다 객관적인 전문표현으로 보고, 인용화자의 자신이 전달하려는 정보에의 ‘관여도’라는 측면에서 아래와 같이 정리하였다. -「という」,「との」의 정보에의 관여도-Ⅰ)「という」>「との」>「-だとの」그리고 지금까지의 선행연구에서는「との」와 공기되는 피수식명사는「발화명사」,「사고명사」, 일부의「コト명사」라고 하였으나, 일부의「상대성명사」도 공기될 수 있다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였다. 마지막으로「との」에 대조되는 한국어 인용표현은「-고/라고 하는」보다「는/라는」이 더 자연스럽게 대조되었고,「とのことだ」는「-고/라고 하다」,「-고/라고」이외에도「- 는/라는데(요)」가 대조되어 일본어의「との」본래의 의미를 살려줄 수도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영어 초록
本稿は引用表現「との」と「という」、「とのことだ」と「ということだ」を比較することによって「との」、「とのことだ」の構文的特徵と意味機能を明らかにすることを目指した。本稿での調査によると、「との」に繫がる連體修飾節の終止形「-だ」は南(2010)では省略されても意味解釋は同じとされているが、本稿での調査の結果、終止形「-だ」が入ると、傳聞の機能を更に强くし、「との」に前接する連體修飾節を强調することが分かった。また、「との」、「とのことだ」は引用の中でも傳聞の機能のみを果たしているので「という」「ということだ」より使われる範圍が狹く、尙、「との」、「とのことだ」は發話者が發話する內容が他人(第3者)から得た情報であることを明らかにし、自分の關與を最小限に留める意味機能を持っている。つまり、第3者の考えや發話をできるだけ自分と切り離して地の文のまま傳えようとするということだ。本稿では以上の考察から「との」を「という」より客觀化が進んだ傳聞表現と見做し、話し手の情報(傳えようとする)への關與度という面から「という」、「との」「-だとの」を以下のように幷べた。-「という」、「との」の情報への關與度-Ⅰ)「という」>「との」>「-だとの」そしてこれまでの先行硏究では「との」に繫がる被修飾名は「發話名詞」、「思考名詞」、一部の「コトの名詞」が繫がるとしたが、一部の「相對性の名詞」にも繫がることが分かった。最後に「との」に對照される韓國語引用表現は「-고/라고 하는」より、「는/라는」がスム―ズに對照できるが「とのことだ」は「-고/라고 하다」、「-고/라고」以外に、「- 는/라는데(요)」が對照され、他人から聞いた話であることを强調することもできると思われる。참고 자료
없음"일본어교육연구"의 다른 논문
KY코퍼스에 나타난 한국인 일본어학습자의 “ノダ”사용에 대해서16페이지
학습동기와 계속적인 학습과의 관련성에 대하여13페이지
한국인 학습자의 일본어 보조동사 사용17페이지
유의어 의미구분을 위한 도식화 교수법에 대한 연구15페이지
한,일 2개언어병용화자의 코드 스위칭에 관한 일고찰20페이지
Tandem수업에서의 학습자간의 오용정정 활동의 실제20페이지
대인커뮤니케이션에서의「본음(本音)」와「건전(建前)」의 이면성15페이지
한국인학습자 인터뷰데이터에서 본 일인칭대명사「私」사용의 차이13페이지
「この類」와「このような類」를 중심으로 한 문맥지시에 관한 연구16페이지
인천시 초중고교의 일본어교과 현황과 전망 -2009 개정 교육과정의 적용실태조사를 중심으로19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