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사회과 지리교육내용에 대한 비판적 검토
(주)학지사
- 최초 등록일
- 2016.07.11
- 최종 저작일
- 2016.06
- 21페이지/
어도비 PDF
- 가격 5,000원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ㆍ발행기관 : 공주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ㆍ수록지정보 : 교육논총 / 53권 / 2호
ㆍ저자명 : 강경원
목차
I. 서 론
Ⅱ. 분석의 틀
Ⅲ. 분석내용
Ⅳ. 내용 집필의 개선 방안
Ⅴ. 결 론
참 고 문 헌
한국어 초록
본 연구는 사회과 교과서와 사회과부도에 실린 지리 영역의 내용을 비판적 관점에서 검토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구체적으로는 어휘 사용의 타당성 검토, 지리적 사실에 대한 기술의 오류, 개념
의 적실성과 개념 간의 관계 설정의 문제점, 지리학 이론의 수용 여부 등을 분석하였다. 분석의
결과 가장 두드러진 문제점은 지리적 사실들(facts)을 틀리게 기술한 점이다. 어휘 활용의 적절성
을 검토한 결과 모호한 용어의 사용, 같은 의미가 중복된 어휘의 사용, 외국어 지명표기의 오류
등이 문제로 지적되었다. 또한 지리적 사상에 대한 개념정의와 분류기준이 적절하지 않은 경우도
많았다. 물론 개념의 위계구조의 적용이 과거의 교과서와 비교하면 크게 향상되었다. 그럼에도 개
념을 잘못 파악함에서 비롯한 논리적 모순이나 지리학 이론과의 괴리를 여러 군데에서 찾아볼 수
있다. 앞으로 위에서 제기한 문제를 사전에 방지하기 위하여 교과서 연구진과 집필진을 구성함에
큰 변화가 요망된다.
영어 초록
This study purposes to check out how clearly the text and atlas show children
geographical basics. For this purpose, I have compared recent academic studies and
basic description in school books. I have suggested as follows. First, I found out
something wrong in describing facts. Second, there are some cases of miswording.
Third, the text has some misconceptions. And also it is misplacing a concept in the
whole hierarchy of geographical concepts. Finally, there is kind of forgery in
credibility. For example, textbook writers want to support government policy. Their
stance seems to turn a working theory into an accepted one. Therefore, I have a lot
to improve in making school books for social studies.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