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아행복연구 동향 분석: 유아교사와 부모대상 연구를 중심으로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ㆍ발행기관 : 한국유아교육학회
ㆍ수록지정보 : 유아교육연구 / 36권 / 2호
ㆍ저자명 : 이경민 ( Kyung Min Lee ) , 윤혜경 ( Hye Kyung Yoon ) , 변소연 ( So Yeon Byeon )
ㆍ저자명 : 이경민 ( Kyung Min Lee ) , 윤혜경 ( Hye Kyung Yoon ) , 변소연 ( So Yeon Byeon )
한국어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육관련 국내등재학술지에 게재된 유아교사와 부모의 행복연구 동향을 연구시기, 내용, 방법별로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유아행복연구의 방향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최초 유아행복교육관련 논문이 국내 유아교육관련 등재학술지에 발표되었던 2008년부터 2015년 12월까지 등재학술지 20종에 게재된 유아교사, 유아부모의 유아행복관련국내 연구 110편을 연구시기, 연구내용, 연구방법별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시기별로 2008년 최초의 행복연구 발표이후 2년을 주기로 확인한 유아교사대상 행복연구는 8편(7.3%), 23편(20.9%), 46편(41.8%) 유아부모대상 행복연구 7편(6.4%), 12편(10.9%), 12편(10.9%)의 연구가 발표되어 꾸준한 증가추세를 보였다. 둘째, 유아교사대상 행복연구 내용은 행복관련변인, 행복의 개념, 행복증진활동의 순으로, 유아부모대상은 행복의 개념, 행복관련변인, 행복증진활동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연구방법별로 먼저 대상의 경우, 유아교사는 어린이집교사, 예비교사, 유치원교사, 기타(원장, 숲해설가)순으로 유아부모는 어머니, 아버지, 장애부모, 부모 순으로 나타났으며 영아부모보다는 유아부모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많았다. 한편, 연구방법의 유형으로는 유아교사와 부모대상 모두 양적연구, 질적연구, 문헌연구, 혼합연구 순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 유아교육영역에서 행복탐구는 양적 증가추세이나 유아교육현장의 고유특성을 반영한 행복의 의미, 구성요인, 증진방안 등의 구체적인 합의를 이끌어 낼 수 있는 기초 및 실천 연구의 질적 심화와 확대를 위한 활성화가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유아교육분야에서 유아의 삶에 가장영향력 있는 부모와 교사를 대상으로 한 행복연구의 의미와 가치를 재인식하고 유아교육현장 고유의 행복개념, 관련 요인, 직접적인 실천 활동의 과제와 방향이 필요함을 시사하였다.영어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trends of Korean happiness research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provide useful information in these fields. To meet this end, the 110 articles on happines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from 5 different journals published between 2000-2015 were analyzed by the research period, themes and results, methodologies, and the subjects of studie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number of articles had increased dramatically from 8(7.3%) in 2010 to 46(41.8%) in 2015 with its first article published in 2008. Second, the themes of articles were classified in order by ‘relating factors of happiness,’ ‘the meaning of happiness,’ ‘educational activities for enhancing happiness’ for the teachers, and ‘the meaning of happiness,’ ‘relating factors of happiness,’ ‘educational activities for enhancing happiness’ for parents of young children. Third, the subjects of the studies were classified in order by teachers of daycare centers, pre-serviced teachers, teachers of kindergarten for teachers of young children, and mother, fathers, parents with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parents for parents of young children. Finally, the major research types were classified in order by quantitative research, qualitative research, literature review, mixed methods.참고 자료
없음태그
"유아교육연구"의 다른 논문
영아기 부모를 위한 뇌기반 양육코칭 프로그램 모형 개발23페이지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부모 참 역량 척도 단축형의 타당화26페이지
유아의 인지,언어발달과 가정환경 군집에 따른 창의성에 관한 연구20페이지
유아 놀이 연구 동향 분석: 2006년부터 2015년을 중심으로24페이지
대학원생의 에콰도르 R-러닝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연구31페이지
유아교육기관 관리자용 멀티플라이어십 척도 개발 연구27페이지
한국아동패널(PSKC)을 활용한 연구동향: 복합자료(Complex Sampling Survey Da..22페이지
유아의 성, 놀이성과 교사-유아의 상호작용이 만 3세 유아의 유아교육기관 적응에 미치는 영향22페이지
유아환경교육관과 연계한 유치원의 멸종위기동물 환경교육프로그램이 유아의 환경감수성 및 생명존중인식에 ..23페이지
유아교육기관 교실의 질, 교사의 교수효능감, 교수상호작용 영역이 유아 자기조절력에 미치는 영향19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