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연제(포스터) : P-6 ; MRSA에 대한 천연물(상황버섯, Phellinus baumii)의 항균효과 측정에 비색법에 기초한 미량액체배지희석법의 적용
- 최초 등록일
- 2016.06.04
- 최종 저작일
- 2013.01
- 1페이지/
어도비 PDF
- 가격 1,000원

판매자한국학술정보(주)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ㆍ발행기관 : 대한임상병리사협회
ㆍ수록지정보 : 임상미생물검사학회 발표자료집 / 2013권
ㆍ저자명 : 홍승복 , 손영일 , 신경섭
한국어 초록
배경: 최근 내성세균의 증가에 따른 천연물 항균 효과에 대한 연구가 많이 시행되고 있다. 그러나 항균제와는 달리 천연물은 종류에 따라 색소를 가지고 있는 물질들이 있어 최소억제농도(MIC)의 표준 측정법인 미량액체배지희석법의 육안 판독에 어려움이 있다. 저자들은 노란색소를 가지고 있는 상황버섯(Phellinus baumii)의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MRSA)에 대한 항균효과의 평가에 다양한 염료를 첨가한 비색법을 이용한 미량액체배지 희석법을 적용하여 보았다. 방법: 임상에서 분리 된 MRSA 10 균주, MSSA 10 균주를 대상으로 상황버섯에 대한 항균효과를 CLSI guideline에 따른 미량액체배지희석법을 이용하여 육안판독과 세 가지 비색법(TTC, alamar Blue®, MTT)을 비교 평가하였다. 염료들의 농도는 기존 논문에 제시된 방법을 참고하여 TTC는 MH broth에 최종농도 40 ug/mL로 맞추어 사용하였고, alamar Blue®는 10 uL씩 96 well에 분주하여 배양하였다. MTT는 배양이 끝난 후 육안판독 후에 10 mg/mL 농도를 10 uL씩 분주하여 빛을 차단하여 실온에서 20분 방치 후 판독하였다. 최종 균 농도는 5x105 CFU/mL로 35℃에서 16~20시간 배양하였다. 또한 표준균주 S. aureus ATCC 29213을 이용하였으며, 결과의 신뢰성을 위해 3가지 항균제(ceftazidime, imipenem, amikacin)의 MIC 측정에 비색법과 육안 판독법을 적용하여 결과를 비교하였다. 결과: 상황버섯에 대한 MIC 값은 MRSA, MSSA 모두에서 1024 ug/ml이었다. P. baumii는 노란색의 물질이기 때문에 MIC 육안 판독으로 균의 증식 유무를 확인할 수 없어 육안으로 상황버섯의 MIC를 판독할 수 없었다. 2,3,5-Triphenyltetrazolium Chloride(TTC)염료, 3-(4,5-dimethyl-2-thiazolyl)-2,5-diphenyl-2H-tetrazoliumbromide(MTT)염료, alamar Blue® 염료를 육안법과 비교한 결과 MTT 비색 방법이 판독에 가장 우수하였다. MTT 결과의 신뢰도를 위해 MRSA 5균주, MSSA 5균주를 대상으로 시행한 ceftazidime, imipenem, amikacin의 MTT비색법과 육안판독에 의한 MIC결과는 서로 일치하였다. 결론: RSA와 MSSA에서 상황버섯(P. baumii)의 항균 효능은 동일한 결과가 나왔다. 상황버섯의 항균효과 판독을 위한 육안판독법과 세 가지의 비색법을 비교 하였을 때 MTT 비색법의 결과 판독이 가장 우수하여 천연물 항균효과에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세 가지 항균제의 MIC 측정에서도 MTT 비색법은 육안판독과 일치하였으며 앞으로 항균제의 MIC 측정법에도 적용하여 육안판독의 편리성을 도모할 수 있을 것이다.
참고 자료
없음
"임상미생물검사학회 발표자료집"의 다른 논문
더보기 (5/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