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일시티 이벤트
  • 캠퍼스북
  • LF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관음시식에 내재된 불성관 고찰

(주)코리아스칼라
최초 등록일
2016.05.03
최종 저작일
2016.02
32페이지/파일확장자 어도비 PDF
가격 7,8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발행기관 :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불교문화예술연구소 수록지정보 : 불교문예연구 / 6권
저자명 : 곽성영

목차

Ⅰ. 서론
Ⅱ. 관음시식 영가법문에 내재된 불성관
Ⅲ. 맺음말

한국어 초록

재의식(齋儀式)은 가장 보편화된 불교의식의 하나이다. ‘재(齋)’는 본래 심신을 닦는 수행을 뜻하는 말이나, 근래에는 불공을 올리며 그 공덕을 함께 하는 의식으로 수용되고 있다. 재의식에서는 살아 있는 자와 죽은 자 모두에 게 불법을 일러주게 되며, 그 가운데 시식(施食)의 절차가 들어있다. 시식의 종류에는 관음시식(觀音施食), 전시식(奠施食), 화엄시식(華嚴施食), 구병시 식(救病施食), 상용영반(常用靈飯), 종사영반(宗師靈飯) 등이 있다. 관음시식은 관세음보살의 자비에 의지하여 망인(亡人)의 명복을 비는 제 사의 한 형태이며, 이 의식은 망인을 위한 재를 올린 뒤에 행하거나 망인의 기일 또는 명절 등에 행한다. 진행절차는 창혼(唱魂), 증명(證明), 시식(施 食), 장엄(莊嚴) 등 크게 네 가지로 분류된다. 불성(佛性)이란 부처의 본성으로, 깨달음 그 자체의 성질이나 부처가 될 수 있는 가능성을 뜻한다. 세친(世親)의『불성론(佛性論)』은 불성에 대해 체 계적으로 논한 것으로, 모든 중생에게는 본디부터 불성이 갖추어져 있음을 밝혔다. 이 논서의 구성은 연기분(緣起分), 파집분(破執分), 현체분(顯體分), 변상분(辯相分)의 4분(分)으로 나누어져 있다. 관음시식의 창혼의식에서 나타나는 불성론은 다음과 같다. 먼저「현체분」 의 경우 삼인품(三因品)에서 불성의 본질, 여래장품(如來藏品)에서 소섭장 (所攝藏)·은부장(隱覆藏)·능섭장(能攝藏)의 세 가지 의미로 나타난다. 「변 상분」의 경우 자체상품(自體相品)에서 불성의 개별특징 중 불변성(無別異 性), 현과품(顯果品)에서 10지전(十地前)의 범(凡)·성(聖), 10지(十地)의 여 러 계위로 나누어 어느 것에도 구애받지 않음을 뜻하는 무주처열반으로 나 타나며, 「변상분」의 경우 명인품(明因品)에서 여래성을 획득하기 위해 제거 해야 할 네 가지 원인, 무변이품(無變異品)에서 본래 상태의 불성[住自性性] 과 개발된 불성[引出性] 등으로 나타난다. 시식의식에서 나타나는 불성론은 다음과 같다. 「현체분」삼성품(三性品) 에서 무상성(無相性)·무생성(無生性)·무진성(無眞性)의 3무성과, 분별성 (分別性)·의타성(依他性)·진실성(眞實性)의3자성으로나타나며,「 변상분」 자체상품(自體相品)에서 불성의 개별적 특징 중 불변성[無別異性], 무변이품 (無變異品)에서 법신(法身)의 다섯 특징 중 불일불이(不一不異)와 양 극단을 벗어나는 여섯 특징 중 소멸의 대상과 소멸의 주체에 집착하는 것으로 나타 난다. 또한「연기분」에서 여래는 다섯 가지 오류를 제거하고 다섯 가지 공덕 을 낳기 위해, “모든 중생에게 남김없이 불성이 있다”고 하였고, 「변상분」 사능품에서 청정의 불성[淸淨性]이라는 작용의 특징에서 열반의 즐거움에 대한 관찰 등으로 나타난다. 위와 같이 관음시식에 나타나는 법어나 게송에 담긴 불성을 고찰해보면 착어에서부터『열반경』사구게까지 모두 공(空) 사상을 이야기하고 있다. 이 러한 법어는 천도해야 할 영가의 마지막 남은 집착을 끊고 열반의 세계에 들 게 하려는 의도와, 모든 중생이 불성을 지니고 있으므로 그 불성을 깨달아 분별을 버릴 것과 생과 사가 오직 마음에 달려 있음을 말하는 것으로 대승불 교의 핵심사상이라 할 수 있는 것이다.

영어 초록

One of the greatest characteristics of Korean Buddhist ritual can be uposadha. ‘Buddhism’s ritual includes the meaning of ‘doing an act of charity’. The memorial service(齋) is the ritual which tells living people and dead persons about ‘Buddha’s doctrines’. This ritual must include‘ offering food’. Offering types of food include offering the food to the Bodhisattva of compassion, the ceremony about Bodhisattva, offering the food to flower garland, offering the food to a spiritual ghost with the Dharma talk to release the pain of a sick person, general memorial services of Buddhism, and memorial services of great buddhist monks or teachers. Offering the food to the Bodhisattva of compassion is a form of the memorial service which prays for the repose of dead persons’ souls depending on mercy of Avalokitesvara held in Buddhism. This ritual is conducted after have a service offered for the repose of the dead or on sacrificial days or holidays. The procedure is largely classified into four things of first, the ritual to call spirits of dead persons, second, proof ritual, third, the ritual to offer food, and fourth, the solemnity ritual. ‘Buddha nature’means‘ Buddha’s nature and the property of awakening the enlightenment itself, or the possibility to be able to be Buddha’. The『 Buddha theory』was written by Vasubandhu. It systematically discusses Buddha nature and says that all the sentient beings originally have Buddha nature. This treatise consists of four parts of dependent origination, “Pajipbun”, “Hyeonchebun”, and “Byeonsangbun(sutra illustration transformation)”. The 『Buddha theory』shown in spiritual dharma words of offering the food to the Bodhisattva of compassion is shown as ‘essence of Buddha nature’in Chapter 1 of 「three forms of patience, endurance, or tolerance of adversity」in Chapter 3 of 「Hyeonchebun」in the ritual to call spirits of dead persons. And tathagatagarbha in Chapter 3 of 「Yeoraejangpum」of Chapter 3 「Hyeonchebun」has the three meanings of things which should be obtained, things which are not revealed because they hid by themselves, and things which already got ready. And The 『Buddha theory』is shown as invariability of svalaksana of Buddha nature in Chapter 1 of 「Jachesangpum」in Chapter 4 of 「Sutra Illustration Transformation」, Nirvana of non-abiding that the results of Buddha nature means the things which does not adhere to anything including several stages of ordinary persons and Buddha before the practice phase and two stages and ten grounds in Chapter 3 of「 Hyeongwapum」in Chapter 4 of「 Sutra Illustration Transformation」, ‘four causes’which should be removed to obtain Tathagata in Chapter 2 of 「Myeonginpum」in Chapter 4 of 「Sutra Illustration Transformation」, and ‘prakrtistham’and‘ samudanitam’in「 Mubyeonipum」in Chapter 4 of「 Sutra Illustration Transformation」. In the ritual to offer the food, three kinds of nature are the three kinds of self-nature and the three kinds of non-self identity or non-existence. The three kinds of non-self identity or non-existence includes ‘laksana-nihsvabhavata’, ‘upapattinihsvabhavata’, and ‘paramarthanihsvabhavata’. And the three kinds of self-nature includes‘ Discrimination’,‘ dependence’, and ‘honesty’. It’s invariability of svalaksana of Buddha nature in Chapter 1 of「 Jachesangpum」in Chapter 4 of「 Sutra Illustration Transformation」, asampbhinna in five characteristics of dharmaka- ya and adherence to objects and main agents of extinction which is one of the six characteristics that escape from both extremes in Chapter 9 of「 Mubyeonipum」in Chapter 4 of「 Sutra Illustration Transformation」, the three kinds of non-self identity or non-existence and Buddha nature in Chapter 2 of 「Samseongpum」in Chapter 3 of 「Hyeonchebun」. Tathagata in Chapter 1 of「 Yeongibun」said that all living beings have Buddha nature to remove five errors and five kinds of Guna. Second, it is shown as observation of pleasure in Nirvana in the characteristics of the effects of‘ pure Buddha nature’in Chapter 4 of「 Saneungpum」 in Chapter 4 of「 Sutra Illustration Transformation」. Like this, this paper tells emptiness thought from pivot words to gathas of four lines in 『The Nirvana Sutra』when understanding of thought and Buddha nature are considered through the dharma words or gathas shown in offering the food to the Bodhisattva of compassion. These dharma words intend to get ordinary persons to go to the world of Nirvana after dispelling obsession which was lastly left in the departed spirits that Cheondo should be done and imply that of all living beings should remove their selfishness of Discrimination and their life and death depend on their mind because emptiness is not different from formation when they realize Buddha nature as all of them have it. This can be the core idea of Mahayana Buddhism.

참고 자료

없음

자료문의

제휴사는 별도로 자료문의를 받지 않고 있습니다.

판매자 정보

코리아스칼라는 정직과 신뢰를 기반으로 학술단체 발전에 도움을 드리고자 하는 기업입니다. 본 사는 본 사가 자체 개발한 솔루션을 통하여 보다 효율적인 업무 관리 뿐만 아니라, 학술지의 데이터베이스화, ARCHIVE를 돕습니다. 본 사의 One Stop Service를 통해 국제적인 학술단체로 함께 도약 할 수 있다고 믿습니다.

주의사항

저작권 본 학술논문은 (주)코리아스칼라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관음시식에 내재된 불성관 고찰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