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ssion 2. Humanities and Social ⅱ : ■ Speech 4: 국립무용단 작품에 나타난 융복합성 활성화 방안
- 최초 등록일
- 2016.04.06
- 최종 저작일
- 2015.01
- 5페이지/
어도비 PDF
- 가격 4,000원

판매자한국학술정보(주)
1회 판매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ㆍ발행기관 : 한국무용연구학회
ㆍ수록지정보 : 한국무용연구회 국제학술발표논문집 / 2015권
ㆍ저자명 : 이민희 , 차수정 , 강은지 , 김문옥
한국어 초록
21세기 인류의 화두는 단연 문화이다. 최근 예술문화에서는 융·복합(融復合)을 통한 예술적 가치를 높이고, 창의적 시도를 지향하는 추세이다. 융·복합은 전문성을 가진 두 개 이상의 예술문화가 융합(融合)과 통섭(通涉)을 통해 새로운 예술문화를 탄생 시키며 동시에 대중성까지 함께 지향하고 있다. 무용예술에서도 우리나라 대표 문화브랜드라 할 수 있는 한국 춤의 대중성을 확보하기 위한 창조적 인프라 구축 및 공연 활성화를 위한 융·복합 공연 사례가 급증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2010년 이후 발표된 국립무용단의 융복합성 공연 ``단``, ``묵향``, ``회오리``, ``토너먼트`` 작품을 통해 융·복합 공연의 활성화 방안을 제시 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한국 춤의 대표성을 지니고, 한국 춤의 세계화를 위해 노력하는 국립무용단의 예술적 가치를 지향하고, 경제적 가치를 향상 시킬 수 있는 미래지향적 관점에서 한국 춤의 융·복합 공연의 활성화 방향설정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참고 자료
없음
"한국무용연구회 국제학술발표논문집"의 다른 논문
더보기 (5/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