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적분 관계를 고려한 연구개발과 경제성장의 상호관계 연구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ㆍ발행기관 : 국제지역학회
ㆍ수록지정보 : 국제지역연구 / 20권 / 1호
ㆍ저자명 : 한웅용 ( Woong Yong Han ) , 전용일 ( Yong Il Jeon )
ㆍ저자명 : 한웅용 ( Woong Yong Han ) , 전용일 ( Yong Il Jeon )
한국어 초록
본 연구는 OECD 21개 국가의 패널 자료(1981~2011)를 활용하여 제2세대내생적성장이론의 실증적 타당성을 검정하였다. 모든 변수들이 비정상성을 지니므로 변수들 간의 공적분검정을 수행한 결과 연구개발수준은 총요소생산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는 준 내생적성장이론이 강력히 지지되는 반면, 완전한 내생적 성장이론에 따른 연구개발집약도와 총요소생산성 성장 간의 유의한 관계는 일부 모형에 국한하여 적합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총요소생산성성장 함수 추정 결과 국내 및 국외 연구개발수준의 증가는 총요소생산성에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연구개발집약도의 경우는 일부 모형에서만 국내및 국외 연구개발집약도가 총요소생산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준 내생적성장이론이 강하게 지지되었다. 다만 국가 간의 기술격차는 총요소생산성 격차를 줄이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어 완전한 내생적 성장이론의 기술격차가설은 타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준 내생적 성장이론적 관점에서 정책적 함의를 살펴보면 OECD 국가들의 경제는 총연구개발투자에 대한 생산성 체감의 가정이 타당하며, 따라서 지속적인 경제성장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연구개발투자의 지속적인 증가가 수반되어야 한다는 시사점을 얻을 수 있다.영어 초록
We empirically examine the validity of second generation endogenous growth theory suing 21 OECD countries’ panel data(1981~2011). Due to non-stationarity in all variables, we test the cointegrated relationships strongly supporting the semi-endogenous growth model. In the estimation of total factor productivity growth function, the growth of domestic andforeign R&D investment level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affect total factor productivity growth. R&D intensity, however, has significant impacts on the total factor productivity growth only in a few models, and international technology gap also has positive impacts on GDP growth. Thus the semi-endogenous growth model is relatively supported while fully endogenous growth model is weakly and occasionally supported in OECD countries. The policy implication of supporting the semi-endogenous growth model is that the sustaining growth requires increasing R&D expenditures.참고 자료
없음태그
"국제지역연구"의 다른 논문
운수통신 서비스산업의 마크업 결정요인에 관한 실증분석15페이지
The Impact of ODA·FDI·Trade on the Africa Economic Grow..20페이지
동북아지역의 안보균형을 위한 적정수준 국방비 분석에 관한 연구19페이지
브라질의 제이칭뉴(jeitinho)와 한국의 연고주의 간 비교 연구: 비즈니스 관점을 중심으로25페이지
중국의 삼농(三農)지출과 농촌주민 "삶의 질"간 관계 분석14페이지
Effects of Agglomeration Economies on Chinese Firms: In..26페이지
슈퍼볼 애드미터와 광고 어필사이의 문화측면에서 연관성 연구26페이지
21c 일본 통화정책 효과에 대한 분석21페이지
글로벌 금융위기 기간에 외국인 투자자가 아시아 신흥국 주식시장에 미친 영향26페이지
공간모형을 통한 FTA의 다각화가 양자무역에 미치는 영향 분석26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