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明末淸初 顔元의 학문과 사상에 대하여*50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40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6.04.02 최종저작일 2010.06
40P 미리보기
明末淸初 顔元의 학문과 사상에 대하여*50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경상대학교 남명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남명학연구 / 29권
    · 저자명 : 장원철

    목차

    Ⅰ. 서언
    Ⅱ. 顔元 사상의 전회 과정
    Ⅲ. 실천주의적 학문수양론
    Ⅳ. 習行에 근거한 실용적 교육론
    Ⅴ. 결론 : 남명사상과의 비교를 위한 하나
    의 제언

    초록

    이 논문은 중국의 17세기 말엽의 혁신적 사상가였던 顔元의 개혁사상을 학문 론과 교육론을 위주로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그리고 안원의 사상에 대한 그 러한 논의는 이후에 전개할 남명 사상과의 본격적인 비교 논의를 위한 예비적 작업으로서의 성격을 지닌다고 하겠다. 안원은 초기에 朱子學의 영향을 많이 받았으나 이윽고 생명을 잃을 뻔한 실존 적 체험을 겪고 난 뒤에 품은 의문을 계기로 사상적 전환을 행하게 된다. 이후 그는 주자학 체계에 대한 철저한 비판을 행하면서 당대의 지식인들이 현실의 위기에 직면하여 실제적인 공헌을 하지 못하는 원인이 그들의 사유가 주자학적 인성론에 얽매여 있음을 깨닫고서 이를 비판하여 새로운 인간 개념을 공식화하 기에 노력하였다. 그러한 그의 인성론에 대한 논의가 지니는 실천 지향적 특성 은 이후 그의 사상이 후대에 나타나는 實學 사상의 한 선구적 존재가 되게끔 하 였다. 안원은 우주를 생명력이 가득한 공간으로 보고 인간도 본질적으로 선악을 벗 어난 주체적 존재로 보고 있다. 이렇듯 인간성을 자아실현의 진정한 도구로서 낙관적이면서 구체적으로 보았던 그의 관점은 이윽고 학문과 수양의 과정에서 실천적 주체로서의 자아의 존재를 강조한다. 그러한 실천적 주체로서의 자아는 학문과 수양의 과정을 통해서 구체화되는데, 그러한 과정에서 그가 발견한 길 은 공자의 원시유학에서 제시하는 三事와 三物, 특히 六藝의 학문을 習行하는 방법이었다. 그가 강조하는 習行의 방법론은 끊임없이 현실적 과제나 구체적 사물과 관련을 맺으면서 이루어지는 학습과 실행을 강조함으로써 주자학 체계 가 지니는 개념적이고 초월적인 성격과 뚜렷하게 대립하였다. 이렇듯 현실의 구체적인 경험세계를 중시하는 안원 사상의 특징은 格物致知 에 대한 새로운 해석에서도 잘 나타나고 있다. 곧 그는 이 말이 지니는 의미를 ' 실제로 그 일을 한다'라는 뜻으로 해석하고서 그 행위의 대상이 곧 六藝라고 해 석한다. 이러한 해석의 전환을 행함으로써 그는 학문과 수양의 주체를 수동적 이고 관찰자적인 입장에서 해방시켜 현실의 경험 세계 속에서 대상 사물과의 동적인 관계를 맺는 주체적 자아로 바꾸어 놓았다. 이상과 같은 맥락에서 안원이 학문과 수양을 통해 자아를 실현하는 진정한 목 적을 轉世之人, 곧 '세상을 변화시키는 사람'이 되는 데 두고 있는 것은 그의 이 론의 당연한 결론이라 할 수 있다. 바꾸어 말해 안원의 사상적 탐구는 자아 수 양의 정신적 역량을 어떻게 하면 유교적 이상에 부합하는 세계 형성을 위한 사 회정치적 힘으로 변화시킬 것인가 하는 문제에 시종일관 향해 있었던 것이다. 아울러 현실 세계를 변혁하는 주체적 자아를 강조하는 안원의 사상을 그보다 앞선 16세기 조선의 대표적인 실천 사상이었던 남명 조식의 사상과 비교의 관 점에서 논의해 보는 것은 남명사상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는 동시에 동아시 아 유학사를 연구하는 데에 있어서도 하나의 중요한 기초적 작업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formational thought in Yan Yuan, who had been an innovative thinker around the end of the 17th century in China, with the center on the theory of learning and the theory of education. Such discussion about Yan Yuan's thought can be said to have character as preliminary work for substantially discussing the comparison with Nammyong's thought, which will be developed later. Yan Yuan was greatly influenced by Zhu Xi's Neo-confucianism, but comes to change the thought while having a doubt about him after having existential experience, which had almost lost life in the end. Since then, as he performed the fundamental criticism on Zhu Xi's Neo-confucianism, the intellects in his period faced the national crisis. Thus, a major reason for aiming to make realistic and political contribution was realized to rely on which their thought is bound by a concept of humanity in Zhu Xi's Neo-confucianism. Thus, this was thoroughly criticized, resulting in which the new Confucian-based human concept was strived to be formulated. The practice-oriented characteristic, which is possessed by discussion about his such humanity, allowed his thought to be the pioneering existence in the thought of the Practical Learning, which forms great trend in future generations after this. Yan Yuan is seeing even a human being, who proceeds with living within it, as the subjective existence, which substantially escaped from good and evil, with seeing the universe as space full of vitality. In this way, Yan Yuan's perspective, which aims to see a human being's original nature optimistically and specifically as a true tool of self-realization, finally comes to emphasize existence of ego as the practical subject in the process of learning and moral culture. By the way, the ego as the practical subject, which is emphasized by Yan Yuan, is specified through the process of learning and moral culture. A way that he discovered in such process was a method of learning and practicing three actions, three things, and especially six arts, which are suggested in the Proto-Confucianism that had been the original thought of Confucius. Methodology in the learn and practice emphasized by him stressed the learning and practice, which are formed with continuously having relationship with realistic task or specific object, thereby having been distinctly opposed to the conceptual and transcendental character, which is possessed by Zhu Xi's Neo-confucianism. In this way, the characteristic of Yan Yuan's thought, which emphasizes the realistic and specific experimental world, is being well indicated even in new analysis on Gyeokmulchigi(格物致知:gaining knowledge by the study of the nature of things), which is the core in Confucian recognition method. In other words, it is what he analyzes the meaning possessed by this word as a meaning as saying of 'doing the work in reality,' and then what he analyzes that the object of the behavior is directly six arts. He allowed the subject of learning and moral culture to be liberated in a passive observer's position, by performing a change in analysis in this way, and then changed it into the subjective ego, which has dynamic relationship with the target object amid the specific experimental world. What Yan Yuan allows the true aim of realizing ego through the learning and moral culture in the context as the above can be said to be natural conclusion in his theory. In other words, Yan Yuan's ideological exploration had consistently pointed to a problem about how the mental capability in moral culture of ego will be changed into social and political power for forming the world, which conforms with the Confucian ideal. What tries to discuss by comparing Yan Yuan's thought, which emphasizes the subjective ego of reforming the realistic world, with Nammyong's thought, which had been the typical practical thought in Chosun dynasty of the 16th century ahead of it, is thought to be likely one important basic work in researching into history of Confucianism in the East Asia, as well as broadening the width of understanding about Nammyong's thought.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의 자료는 항상 최신 정보를 반영하고 있어 믿을 수 있습니다. 특히, 각 주제에 대한 깊이 있는 분석과 명확한 설명 덕분에 복잡한 개념도 쉽게 이해할 수 있었습니다. 여러분에게도 강력히 추천합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코리아스칼라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남명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8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3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