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수지 유입하천 현장적용실험을 통한 수질정화효율 평가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ㆍ발행기관 : 한국수자원학회
ㆍ수록지정보 : 한국수자원학회 논문집 / 47권 / 12호
ㆍ저자명 : 최선화, 오종민, 김태훈
ㆍ저자명 : 최선화, 오종민, 김태훈
목차
Abstract요 지
1. 서 론
2. 재료 및 방법
2.1 Test-bed 설치
2.2 조류 증식 및 조류조사
2.3 운전조건 및 수질조사
3. 결과 및 고찰
3.1 수처리 시스템의 수질정화효율
3.2 영향인자에 따른 수질정화효율
4. 요약 및 결론
감사의 글
References
한국어 초록
본 연구에서는 사상성 조류로 구성된 수질정화시설의 수질정화효율을 평가하고자 충남 서산시 음암면에 소재한 성암저수지 유입하천 홍수부지에 test-bed를 설치하고 유입하천수를 대상으로 현장적용실험을 실시하였다. 수질항목별로 정화효율을 평가한 결과, SS 80.9%, COD 74.6%, T-N 76.8%, T-P 84.4%, DTN 93.8%, DTP 98.3%의 제거효율을 보였다. 수온에 따른 정화효율은 수온이 약 20˚C로 유지되어 수질정화효율에 미치는 영향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리학적 체류시간(HRT)은 SS 및 TP 처리효율과 유의한 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체류시간을 5일로 했을 때 SS, TP 처리효율이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유입수의 COD/TN에 따른 처리효율은 TN, TP 모두 C/N비가 낮을수록 증가하였고, 유입수의 COD/TP에 따른 처리효율도 C/P비가 낮을수록 TN, TP 모두 처리효율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영어 초록
This study was carry out to evaluate of water purification in oxidation pond with filamentous algae mat. It is the water treatment process in the small rural streams to remove the organic materials and nutrients. We used the filamentous algae mat (FAM) which selectively predominate the filamentous algae to prevent the additional contamination by algae outflow, and we conducted a experiment on the water treatment process using the aquatic plants such as Eichhornia crassipes. The removal efficiencies (%) of water quality parameters were SS 80.9%, COD 74.6%, TN 76.8%, TP 84.4%, DTN 93.8% and DTP 98.3%, respectively. Temperature, a effect factor, was 21.8±5.9˚C during the operating period, according to temperature had no effect on the removal efficiencies of pollutants. Hydraulic retention time (HRT) strongly correlated with removal efficiencies (%) of SS and TP having r=0.414 (p<0.005), r=0.446 (p<0.005), respectively, and when HRT was 5day had highly removal efficiency (%) in SS and TP. TN and TP removal efficiency increased with ratio decreasing in both COD/TN and COD/TP of Influent.참고 자료
없음"한국수자원학회 논문집"의 다른 논문
이중편파레이더 관측오차 보정에 따른 강수량 추정값 개선11페이지
실내실험에 의한 혼합사로 구성된 하상 표층에서 지형변동에 따른 유사의 분급 특성 분석13페이지
우기 전후 댐 저수용량에 대한 이변량 빈도해석과 댐의 용수공급능력 평가14페이지
한반도 태풍강우 추출기법 비교 평가12페이지
대경사를 지나는 천수 흐름에서 수정된 정수압의 효과9페이지
산지하천 만곡부의 편수위 산정12페이지
제주 한천 및 강정천 유역에 적합한 보완관계법 기반 증발산량 산정 모형9페이지
3차원 GIS 정합 및 투영에 기반한 사용자 친화적 레이더 자료 표출 기법10페이지
내성천 유역의 강우-유출-토양침식-유사이송 모의를 위한 분포형 모형의 민감도 분석 및 매개변수 평가14페이지
Expert Team on Climate Change Detection and Indices (ET..13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