업무공간의 이용자 선호도 조사를 통한 실내녹화공간 표준유형 제안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ㆍ발행기관 : 한국인간식물환경학회
ㆍ수록지정보 : 한국인간식물환경학회지 / 15권 / 6호
ㆍ저자명 : 신상희, 유미, 김연미
ㆍ저자명 : 신상희, 유미, 김연미
한국어 초록
본 연구는 외피녹화와 달리 실내녹화는 공간이용 고객의 요구나 민감도가 중요한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이용자의 선호도 및 트렌드 조사를 통하여 식생선정, 공간점유, 공간 배치, 디자인 유형 등을 업무공간에서의 실내녹화 공간 표준유형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설문에 응답한 응답자의 업무공간은 현재 90.4%가 식물을 가지고 있었고, 그중 ‘주업무공간’과 ‘입구, 현관’에 많이 위치하고 있었다. 실내녹화의 형태는 화분형태가 주를 이루었으며, 실내녹화에 대한 선호도도 높았다. 세부공간은 ‘주업무공간’, ‘휴게공간’에 녹화를 하는 것을 선호하였고, 2~3개소를, 빈 바닥면적의 1/10~1/5에 바닥과 벽에 녹화하는 것을 선호하였다. 또한 화분형태로, 목재 재질을 사용하여 마감하고, 자연석과 조명을 첨경물로 사용하는 것을 선호하였다. 사용하는 식물은 2~3종을 관엽과 꽃을 혼합배식하는 형태를 선호하였으며, 중간크기의 밝은 잎을 가지고, 20~50cm의 크기에 가로세로 풍성한 형태의 식물을 사용하는 것을 선호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업무공간의 ‘주업무공간’은 공간의 구분과 함께 심리적 안정을 줄 수 있는 공간으로, ‘휴게공간’은 심리적 안정과 육체적 건강을 도모할 수 있는 공간으로 표준유형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실내녹화의 설계에 적용 공간유형별 사용자의 요구도를 반영한 디자인을 활용할 수 있는 표준유형을 제안하였으며, 이는 실내녹화를 도입할 시 이용자들의 선호를 좀 더 적극적으로 반영할 수 있는 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향후에는 실질적인 설계 가이드라인을 제시할 수 있는 연구의 진행도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영어 초록
The request and the sensitive reaction of the indoor space users have important influence on indoor greening compared to outdoor greening. Therefore, the focus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standard types of indoor greening on behalf of plant selection, spatial deployment, and design. The study was conducted by both users preference and trend survey of different working indoor spaces. Most surveyed working spaces have indoor plant with 90.4%, the plants are placed in the main working place and in entrance. The main forms of plant deployment were planter, which indicates the preferable form of indoor greening. Among the space types, indoor greening was most favored in the main working space and resting space. The indoor greening was conducted in 2~3 places and 10% to 20% of the floor area on average besides wall greening. The planter were covered with woody materials and additionally with natural stone and lighting. As for the applied plants, 2~3 plant species were applied for their foliage and flowers. The favorable plant types were ones with bright green leaves and 20~50㎝ size, and abundant plant volume.참고 자료
없음"한국인간식물환경학회지"의 다른 논문
시대에 따른 소쇄원 수목의 변화에 대한 고찰5페이지
식물원 및 수목원 이용자와 운영자의 도시농업 관련 활동 선호도 및 요구도 분석10페이지
에르메스의 브랜드아이덴티티 관점에서 화예디자인 연구7페이지
소비문화공간에 있어서 장소에 따른 용기정원의 특성8페이지
다섯 가지 덩굴성 식물의 식재방향에 따른 생장과 벽면재질별 부착 유무5페이지
다양한 인공광원이 Begonia xhiemalis와 Pelargonium crispum의 생장 및 ..6페이지
스탠다드 국화 ‘백선’의 개화단계 및 수송온도가 절화의 품질과 노화에 미치는 영향8페이지
무안 회산지(回山池) 백련의 개화기간 중 화형변화8페이지
원예치료가 재소자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7페이지
원예활동이 갱년기 도시주부의 스트레스 경감에 미치는 효과6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