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nges in Water Quality and Sediment Yield in the Forest Catchment - A Study of the Lake Shirarutoro Area in Northern Japan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ㆍ발행기관 : 한국환경생태학회
ㆍ수록지정보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23권 / 6호
ㆍ저자명 : 안영상
ㆍ저자명 : 안영상
한국어 초록
산림벌채와 농경지 개발에 의한 토사와 영양염류의 유출은 시라루토로호수의 생물서식지 환경을 악화시키고 있다. 산림벌채와 농업활동이 수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산림벌채와 농경지 개발에 의한 토사와 영양염류의 유출은 시라루토로호수의 생물서식지 환경을 악화시키고 있다. 산림벌채와 농업활동이 수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토지이용에 따른 총질소와 총인의 변화를 분석하고, 이들의 분석 결과를 다른 연구자료와 비교하였다. 호수의 총질소와 총인은 산림면적 증가에 따라 감소하고, 농지면적이 증가하면 높은 농도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시라루토로호수의 수질은 좁은 농지면적과 넓은 산림으로 둘러싸여 있음에도 불구하고 총질소와 총인의 농도가 높게 나타났다. 이는 유역의 토지이용이 호수에 인접한 곳에서 행해지고 있어 호수 수질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사료되었다. 토지이용에 따른 유역의 토사생산량 변화를 추정하기 위해 호수 토사퇴적물 시료 11개를 채취하여 약 300년 동안의 토사동태를 조사하였다. 채취한 호수 퇴적물에는 2개의 화산재층(1694년의 Ko-c2층 과 1739년의 Ta-a층)과 세슘(137Cs)피크(1963년)가 존재하였고, 이들의 연대를 이용하여 약 300년간 유역의 토사생산량을 분석하였다. 초기개발기(1694~1739과 1739~1963)에는 8.4~8.9 tons/km2/year의 토사가 유역으로부터 생산되었고, 1960년대 이후 산림벌채와 농지개발로 인하여 21.1 tons/km2/year(1963~2007)으로 토사생산량이 증가하였다.영어 초록
Sediment and nutrient loading caused by the removal of forest cover and alteration of agricultural lands in catchments have led to the deterioration in Lake Shirarutoro. To examine the effects of deforestation and agricultural activities on water quality, I examined changes in total nitrogen (TN) and total phosphorus (TP) of lake water induced by land use change, and compared them with the various research data produced over the years. Our investigation showed that the level of TN and TP in the lake water decreased when forest cover increased but increased when farmland area increased. The concentration of TN and TP was high in Lake Shirarutoro despite that its catchment was surrounded by large forests and small farmlands. This result indicates that land uses near Lake Shirarutoro have affected the quality of the lake water. I have examined the changes of sediment yield in the lake's catchment over the last approximately 300 years. Eleven core samples were obtained from the lake sediment and analyzed to establish a chronology after using two tephra layers (Ko-c2 in 1694 and Ta-a in 1739) and a 137Cs peak (in 1963). The average sediment yield under the natural condition during the first two periods was 8.4 tons/km2/year in 1694~1739 and 8.9 tons/km2/year in 1739~1963 respectively. The conversion of the Shirarutoro catchment into agricultural lands and deforestation intensified, leading to an increased sediment yield of 21.1 tons/km2/year during 1963~2007.참고 자료
없음태그
"한국환경생태학회지"의 다른 논문
마라도에 번식하는 섬개개비의 번식지 특성7페이지
제주도에서 흑로 Egretta sacra의 식이물과 취식 영역5페이지
백두대간 등산로 이용행태 및 환경영향 수준에 대한 이용객 인식10페이지
비오톱평가를 위한 평가항목 및 평가체계 제안9페이지
국립공원 특별보호구 정책에 대한 지역주민과 탐방객의 인식에 관한 연구 - 지리산국립공원 칠선계곡 자..9페이지
마을숲 유형에 따른 수종분포와 관리현황 - 경산시 마을숲을 대상으로 -8페이지
환경특성에 따른 집박쥐의 반향정위(Echolocation) 시그널 분석11페이지
농업경관에서의 생물다양성 보전을 위한 딱정벌레 군집 특성 연구8페이지
훼손예정지의 지형 및 수목 형태를 고려한 이식목 선정기준에 관한 연구10페이지
금강유역의 어류상과 서식지 적합도 지수 산정12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