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nect 센서와 Greenfoot을 이용한 NUI 프로그래밍 지도방법 사례 연구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ㆍ발행기관 :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ㆍ수록지정보 : 교원교육 / 30권 / 4호
ㆍ저자명 : 장원영, 김성식
ㆍ저자명 : 장원영, 김성식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1. NUI (Natural User Interface)
2. Kinect 센서와 Greenfoot 개발 도구
Ⅲ. NUI 프로그래밍 지도방법 사례
1. BlueJ를 이용한 Java 언어 학습
2. Greenfoot을 이용한 게임 제작
3. Kinect 센서와 Greenfoot을 이용한 NUI 제작
4. 참여 학생의 NUI 프로그램 개발 사례
Ⅲ. 연구 결과
1. NUI에 대한 이해
2. NUI와 관련한 한계점 인식 및 분석
3. NUI 프로그래밍에 대한 자기 효능감
Ⅵ. 결론 및 논의
참 고 문 헌
Abstract
한국어 초록
스마트폰에서 시작한 혁신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사람의 자연스러운 동작을 인식하는 NUI(Natural User Interface)로 발전하여 앞으로 모든 가전제품의 기본적인 사용자 경험으로 자리 잡을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는 교육용 Java 개발도구인 Greenfoot과 마이크로소프트 Kinect 센서를 이용하여 NUI 프로그래밍을 지도하는 방법을 사례 중심으로 모색하였다. 본 연구에 참여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총 30차시를 지도한 후 NUI에 대한 이해와 분석, 한계점 인식, 그리고 NUI 프로그램 제작에 대한 자기효능감에 대해 1:1 심층 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중 고등학생들도 어렵지 않게 고품질의 NUI 프로그램을 제작할 수 있고, 이 과정에서 객체지향 프로그래밍의 개념과 혁신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가능성을 탐색하였으며, NUI 프로그래밍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영어 초록
This case study is on the teaching method of NUI programming using Kinect sensor and Greenfoot. A touch based user interface of smartphone contributed to popularity of smart devices and was opportunity to confirm how important the user experience is in terms of innovation of the product. Furthermore, it’s significant that Microsoft Kinect sensor gives us applicability of human’s motion recognition technology to everyday life. But we have to program in C++, C# to implement NUI software using Kinect sensor. Especially it is very difficult for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to program. So we used the Java educational tool, Greenfoot. Greenfoot is an educational development environment highly specialized for the development of interactive, graphical applications. It is based on the Java programming language. Using Greenfoot and Kinect sensor, the students from high school age could develop engaging and interesting programs, such as games and simulations with NUI quickly and easily while learning fundamental object-oriented programming concepts.참고 자료
없음"교원교육"의 다른 논문
『교원교육』연구윤리 규정5페이지
『교원교육』게재 논문 작성 규정4페이지
『교원교육』발간 규정5페이지
Lesson Study Crosses the Pacific: Teacher Changes and P..25페이지
2009 개정 바른 생활 교과에 나타난 다문화 교육 관련 내용 분석16페이지
고등학생들의 역사 흥미에 영향을 미친 경험 요인 탐색32페이지
영어과 수업실연 평가의 수준설정 방안21페이지
초등 다문화교실에서 문학기반 다문화교육을 위한 작품 선정 기준 탐색24페이지
초․중등교사의 테크놀로지 교수내용지식(TPACK)에 대한 인지경로 모형 개발27페이지
초등학교 고학년용 시험불안 척도 개발18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