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충전혜택 이벤트
  • 충전혜택 이벤트
  • 충전혜택 이벤트
  • 충전혜택 이벤트
  • 충전혜택 이벤트
  • 충전혜택 이벤트
  • 충전혜택 이벤트
  • 충전혜택 이벤트
  • 충전혜택 이벤트
  • 충전혜택 이벤트

Effect of Cultivation and Application of Green Manure Crop on Soil Physico-chemical Properties in Saemangeum Reclaimed Tidal Land

(주)코리아스칼라
최초 등록일
2016.04.02
최종 저작일
2014.03
8페이지/파일확장자 어도비 PDF
가격 4,0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 인스타그램 팔로우 이벤트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발행기관 : 한국국제농업개발학회 수록지정보 : 한국국제농업개발학회지 / 26권 / 1호
저자명 : Jong-Gook Kang, Sanghun Lee, Kyeong-Bo Lee, Kyung-Do Lee, Geun-Hwan Gil, Jin-Hee Ryu, Ki-Hun Park, Su-Hwan Lee, Hee-Soo Bae, Seon-A Hwang, Seon-Woong Hwang, Hong-Kyu Kim, Geon-Hwi Lee

한국어 초록

새로 조성된 간척농지의 토양개량을 위하여 새만금간척지에서 2007년부터 2011년까지 4년 동안 녹비작물 (여름철 : 세스바니아, 제주재래피, 수수×수단그라스, 겨울철 : 귀리, 호밀, 보리) 재배 및 시용이 토양이화학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여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1. 녹비작물의 바이오매스 생산량은 평균 9.7~15.0ton/ha이었으며, 이 중에서 수수×수단그라스의 생산량이 가장 많았다.2. 녹비작물의 재배와 시용으로 토양유기물 함량이 1.3에서6.0g/kg로 매년 평균 1.2g/kg씩 증가하였다.3. 녹비작물의 재배와 토양환원에 의해 토양의 용적밀도가1.44에서 1.24Mg/m3로 감소하였다.4. 수수×수단그라스와 호밀의 이어짓기가 토양 용적밀도 감소에 가장 효과적이었고, 세스바니아 재배는 토양 질소함량 증가에 가장 효율적이었다.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볼 때 간척지에서의 녹비작물 재배및 시용은 토양의 비옥도 요인을 일부 개선시킴으로써 간척농지 개량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앞으로 신간척지에서의 유기물과 관련된 다각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영어 초록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green manure crops on soil fertilityand to provide informations for optimum cropping systems in Saemangeum reclaimed tidal land. Fieldtrial was established with summer [sesbania (Sesbania sesban), wild millet (Echinochloa crus-galli), andsorghum-sudangrass hybrid (Sorghum bicolor)] and winter [oat (Avena sativa L.), rye (Secale cereale L.),and barley (Hordeum vulgare L.)] green manure crops at Saemangeum reclaimed tidal land in Koreafrom 2007 to 2011. Biomass of the green manure crops were 9.7-15.0 ton/ha (dry weight), and sorghum-sudangrass hybrid produced consistently greater biomass than other crops across growing years. Culti-vation and application of green manure crops increased soil organic matter contents from 1.3 to 6.0 g/kgby 1.2 g/kg per year. Green manure crops also improved bulk density from 1.44 to 1.24 Mg/m3 by addi-tion of biomass residues. Sequential cultivation of sorghum-sudangrass hybrid followed by rye was mosteffective on decreasing bulk density of soil, and sesbania cultivation was most efficient on increasing soilnitrogen content. Overall, green manure crops can be probably useful for improvement soil fertility inSaemangeum reclaimed tidal land.

참고 자료

없음

자료문의

제휴사는 별도로 자료문의를 받지 않고 있습니다.

판매자 정보

코리아스칼라는 정직과 신뢰를 기반으로 학술단체 발전에 도움을 드리고자 하는 기업입니다. 본 사는 본 사가 자체 개발한 솔루션을 통하여 보다 효율적인 업무 관리 뿐만 아니라, 학술지의 데이터베이스화, ARCHIVE를 돕습니다. 본 사의 One Stop Service를 통해 국제적인 학술단체로 함께 도약 할 수 있다고 믿습니다.

주의사항

저작권 본 학술논문은 (주)코리아스칼라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최근 본 자료더보기
  • 벨롭 20% 할인쿠폰
  • 위잇 도시락 이벤트
  • 르네셀 화장품
  • 프레시홍 - 전복
  • 프레시홍-홍어
  • 연극 옥탑방고양이
탑툰배너
Effect of Cultivation and Application of Green Manure Crop on Soil Physico-chemical Properties in Saemangeum Reclaimed Tidal Land
통큰쿠폰모음 릴레이이벤트 신한 체크카드 오늘 하루 보지 않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