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대(六大) 차류(茶類)에 대(對)하여 -제 3보 조선시대-
- 최초 등록일
- 2016.04.02
- 최종 저작일
- 1989.09
- 7페이지/
어도비 PDF
- 가격 4,000원

판매자(주)코리아스칼라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ㆍ발행기관 : 한국식생활문화학회
ㆍ수록지정보 : 韓國食生活文化學會誌 / 4권 / 3호
ㆍ저자명 : 김명배
한국어 초록
조선시대(朝鮮時代)에 육대(六大) 차류(茶類)의 전래여부(傳來與否)와 국내생산(國內生産) 여부(與否)를 고찰(考察)한 결과(結果) 다음과 같은 사실(史實)이 확인(確認)되었다. 1. 중국(中國)으로부터는 화차(花茶)인 향편차(香片茶), 청차(靑茶), 흑차(黑茶)가 전래(傳來)되었고, 일본(日本)으로부터는 홍차(紅茶)가 전래(傳來)되었다. 2. 이 중(中)에서 화차(花茶), 황차(黃茶), 흑차(黑茶)는 국내(國內)에서도 생산(生産)되었다.
영어 초록
The introduction of six kinds of teas in Chosun dynasty and tea-making in domestic were investigated. The results were certified as follows. 1. Jasmine tea, blue tea, black tea which are scented tea were introduced from China, red tea was introduced from Japan. 2. Among them, scented tea, yellow tea, black tea were also produced in domestic.
참고 자료
없음
"韓國食生活文化學會誌"의 다른 논문
더보기 (5/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