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RB, FPS 지진격리시스템의 지진응답특성 비교연구
(주)코리아스칼라
- 최초 등록일
- 2016.04.01
- 최종 저작일
- 2009.08
- 9페이지/
어도비 PDF
- 가격 4,000원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ㆍ발행기관 : 한국지진공학회
ㆍ수록지정보 : Jorunal of the Earthquake Engineering Society of Korea / 13권 / 4호
ㆍ저자명 : 이경진, 함경원
한국어 초록
본 연구에서는 원전 주제어실의 층 지진격리시스템에 대한 지진동 저감성능과 적용성을 평가하기 위해서 실험연구를 수행하였다. 층 지진격리시스템에 적용하기 위해서 납-고무 베어링(LRB)과 마찰진자장치(FPS)를 설계하고 제작하였다. 제어 캐비닛과 액세스 플로어로 구성된 원전 주제어실 부분 실험모형을 제작하여 납-고무 베어링과 마찰진자장치를 각각 설치하여 진동대 실험을 수행하여 지진응답특성을 비교, 평가하였다. 실험을 위해서 원전 주제어실의 운전기준지진(OBE)과 안전정지지진(SSE)의 수평방향 층응답 스펙트럼을 이용하여 인공지진 시간이력을 만들어서 진동대 실험에 사용하였다. 입력지진에 대한 실험모형의 지진응답은 마찰진자장치를 적용한 경우 상대적으로 우수한 지진동 저감특성을 나타냈다.
영어 초록
An experimental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seismic reduction performance and the applicability of 2-dimensional floor isolation system to the main control room of a nuclear power plant. A lead-rubber bearing (LRB) and a friction pendulum system (FPS) were designed and fabricated for a 2-dimensional floor isolation system. A partial experimental model of a main control room with the LRB and FPS was tested using a shaking table. The experimental model consisted of a control panel, a 2.5m{times}2.5m access floor, and four LRB and FPS. The artificial time histories based on the horizontal floor response spectrums (OBE, SSE) of the main control room were used as earthquake input signals. Compared to the non-isolated system, the seismic response of experimental models using a 2-dimensional floor isolation system showed considerable seismic reduction performance against an earthquake.
참고 자료
없음
"Jorunal of the Earthquake Engineering Society of Korea"의 다른 논문
더보기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