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교육,한국어교육 : 문화 교육으로서의 한국 문학 교육 방안 연구 -비교문화적 관점을 중심으로-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ㆍ발행기관 : 한성대학교 한성어문학회
ㆍ수록지정보 : 한성어문학 / 34권
ㆍ저자명 : 유현정 ( Hyun Jung Ryu )
ㆍ저자명 : 유현정 ( Hyun Jung Ryu )
한국어 초록
이 연구는 한국어교육을 위한 한국 문화 교육에서 한국 문학을 활용하는 방안에 관해 논의한다. 최근 한국어교육 분야에서 진정한 의사소통 능력향상을 위한 문화 교육의 필요성에 관한 인식이 높아지면서, 한국의 문화 및 한국인의 생각과 행동, 생활양식 등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한국문학 교육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그동안 한국어교육 분야에서 문학과 관련된 연구는 주로 언어학습을 위한 문어(文語) 텍스트로서 그 활용 방안에 관한 논의를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그러나 최근 한국어교육을 포함한 외국어교육 분야에서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위한 문화 교육의 필요성에 관한 인식이 높아지면서 문학을 문화 교육의 측면에서 다루어보고자 하는 논의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즉 문학을 단순한 실용적 차원의 언어 교육을 위한 제재로서가 아니라 문화 교육 차원에서 필수적이며 적극적으로 다루어져야 할 문화교육의 도구로 보는 경향이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현재 한국어 교재가 언어의 습득이라는 1차적 목표 아래 주로 대화문이나 설명문과 같은 실용적 텍스트 위주로 구성되고 있는 현실에서 학습자 수준에 맞는 문학 작품의 선정 및 교수요목 상의 주제, 기능등을 고려한 구체적인 수업활동의 고안에 대해서는 좀 더 구체적이고 다양한 논의가 필요한 시점이다. 이에 본고에서는 문화 교육으로서 문학 교육의 필요성 및 당위성이라는 전제를 바탕으로 현재 한국어교육에서 문화 교육 및 문학 교육에 관한 연구의 결과를 고찰하고 그 안에서 문학 교육의 위치를 파악하여, 그 문제점과 개선점을 중심으로 문화 교육으로서의 문학 교육 방안을 제시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현행 한국어 교재의 문학 교육 내용을 추출하여 그 항목과수업 활동을 분석하고, 최근에 이루어진 ‘한국어 확산 문화프로그램 연구’ 와 ‘국제 통용 한국어 교육 표준 모형 개발’ 연구의 결과를 참고하여 문화교육을 위한 문학 작품 선정 기준 및 교육 내용 제시 방안을 고안하였다. 또한 학습자가 문학을 문화 지식의 대상으로 학습함에 있어 비교문화적관점에서 문화 내용을 주체적으로 이해하고 비판적 시각으로 받아들이는 과정을 통해 적극적인 문화 교육이 실현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학습자 중심의 문화 교육이 이루어지게 하는 방향으로 논의를 진행하였다.영어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ek a teaching method of Korean literature as a cultural education within the confine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the purpose of communicating in the Korean language proficiently. As the need for cultural education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is increasing, the importance of Korean literature education is getting attention as the literal works contain many informations about Korean culture. This study examines various studies about cultural education and Korean literature education and analyze the literal contents in Korean textbooks to seek the way to use Korean literature as a method of teaching of Korean culture. This study attempts to offer a discriminatory method of teaching Korean culture by using Korean literature in the cross-cultural perspective which can make Korean language learners compare the cultural facts in Korean literature to their native culture. This study is significant as it recognizes the importance of the education of literature and attempts to change the perspective on literature from simply being the "additional fact" for language learning to the important subject of language education and cultural education. The result of this study is expected to provide information on anticipated future studies in Korean literature education as a cultural education for proficient communication in the Korean language. Another expectation is that there will be many other studies in Korean literature education focused on various subjects such as how to set up the standard to select the Korean literal works which is useful for cultural education and how to use them in a Korean textbooks.참고 자료
없음태그
"한성어문학"의 다른 논문
문화콘텐츠 : 광고에 있어 제품 신뢰도 부각 표현의 통시적 변화 양상 -일제강점기~현대의 인쇄광고를..28페이지
국어교육,한국어교육 : 대학 내 학문 목적 한국어 교육과정 현황 분석 연구 -교양 교육과정을 중심으..41페이지
국어교육,한국어교육 : 근대 한국어 신문 읽기 교재의 내용과 구성 -『NEWSPAPER READIN..33페이지
국어교육,한국어교육 : 전래동화를 활용한 다문화 문식성 교육 -상호문화교육 모형에 기반하여-24페이지
현대문학 : 이태준, 김동리, 최정희 소설에 나타나는 성북동,낙산 일대의 공간 연구30페이지
고전문학 : 오누이 대립 서사의 전개양상과 계승의 문제27페이지
고전문학 : 조선후기 여성층의 독서 취향, 그 편린 -『부장양문열효록』의 여성인물 형상을 중심으로-20페이지
국어학 : 전문 용어 동의어의 특성 연구22페이지
국어학 : 축약에 의해 생성된 줄임말의 구조 분석 -2014년 신어를 대상으로-22페이지
국어학 : < 한글간소화방안 >과 표음주의, 그 국어학사의 굴절 -< 한글 맞춤법 통일안 > 형태주..24페이지